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미 국무장관, 푸틴 방북에 “침략 전쟁 지원국과 관계 강화 필사적”[북러정상회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블링컨 “북한 대러 지원 차단 총력”
나토총장, “러 북핵 지원 우려” 화답
한국일보

토니 블링컨(오른쪽) 미국 국무장관이 18일 워싱턴 국무부에서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회담한 뒤 함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방북의 핵심 배경으로 침략 전쟁 지원국과의 관계 강화 의도를 지목하며 북한의 대(對)러시아 지원 차단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러시아 견제에 집중해 온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옌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중국 압박 목적인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앞으로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블링컨 장관은 18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과 회담한 뒤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북한과 이란 같은 국가가 (러시아에) 제공하는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북에 대해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을 지속하는 데 필요한 것을 공급할 수 있는 국가들과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강화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쓸 수 있는 상당량의 탄약 및 기타 무기들을 러시아에 제공하고 있고, 이란은 민간인 및 민간 기반시설 공격에 사용된 무인기(드론) 등을 제공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중국이 러시아에 방위산업 지원물품을 제공 중이라고 주장하며 “만약 전쟁 종식에 큰 관심이 있다고 공표한 중국이 진심이라면 ‘전쟁 기계(war machine·군사 자원)’에 연료를 공급하는 일을 중단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나토총장 “안보의 글로벌화”


블링컨 장관의 유럽 염려에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미국 관심사인 아시아 걱정으로 화답했다. 그는 “푸틴 대통령 방북은 러시아가 북한·중국·이란 등 권위주의 국가들과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우리 안보가 지역에 국한된 게 아니라 전 세계적인 것임을 보여 준다”며 “유럽에서 일어나는 일은 아시아에 중요하고 아시아에서 일어나는 일은 우리(유럽)에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그런 만큼 우리는 이 문제들을 함께 해결해야 한다”며 “우리는 러시아가 북한의 미사일과 핵 프로그램을 지원할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다음 달 9~11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에 한국과 일본, 호주, 뉴질랜드 정상을 초청한 사실을 언급하며 나토와 아시아 국가 간 안보 협력 강화가 정상회의 의제로 논의될 것임을 시사했다.
한국일보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을 방문한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을 만나 악수하고 있다. 이날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올해 나토 23개 회원국이 국내총생산의 2%를 국방비로 지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백악관, "나토의 인도·태평양 파트너십 심화 환영"


전날 미국 백악관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과 회담한 직후 자료를 내고 인도·태평양과의 파트너십 심화를 위해 나토가 취하고 있는 조치를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인도·태평양은 바이든 행정부가 누차 공언한 미국의 최우선 안보 전략 지역이다. 중국과의 패권 경쟁에서 승리하는 게 지상 과제이기 때문이다.

푸틴 대통령은 19일(한국 시간) 새벽 북한 평양에 도착해 방북 일정을 시작했다. 러시아 스푸트니크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양 순안국제공항에서 푸틴 대통령을 직접 영접했다고 현지 특파원을 통해 전했다.


워싱턴= 권경성 특파원 ficciones@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