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재명 “언론 ‘애완견’은 학계 용어” 학계 “국내선 안쓰는 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李 “일부 잘못된 행태 비판한 것”

추미애-서영교 등은 옹호 나서

언론학계 “美서도 전쟁때나 사용”

“영어로 하는 ‘랩도그(Lapdog)’라는 표현은 돼도 한글로 하는 ‘애완견’ 표현은 안 된다는 것은 설마 아닐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언론을 “검찰의 애완견”이라 한 자신의 발언과 관련해 논란이 이어지자 “학계와 언론계 등에선 언론을 ‘워치도그(감시견)’ ‘랩도그(애완견)’ ‘가드도그(경비견)’ 등으로 분류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반면 언론학계에선 “‘랩도그’는 언론이 ‘워치도그’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비하 의미를 담고 있다”며 “제1당 대표가 언론을 상대로 폄훼 발언을 한 것 자체가 문제”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 대표는 18일 페이스북에 “제 (애완견) 발언은 일부 언론의 실재하는 애완견, 경비견 행태를 지적한 것”이라며 “시간 제약 등으로 일부 언론의 문제임을 좀 더 선명하게 표현하지 못해 언론 전체 비판으로 오해하게 했다면 이는 저의 부족함 탓이고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썼다. 그러면서도 “일부 언론의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애완견 행태 비판을 전체 언론에 대한 근거 없고 부당한 비판인 양 변질시키는 것도 매우 안타깝다”며 “그런 식이면 어떤 성찰도 자정도 어려울 것”이라고 거듭 날을 세웠다. 언론단체들이 일제히 성명을 내고 사과를 요구한 것에 반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손가락이 아니라 달을 봐주시기 바란다”고도 했다.

이에 대해 언론학계에선 ‘랩도그(애완견)’라는 학계 용어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이 대표의 발언은 상황에 맞지 않고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규섭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한국 학계에서는 애완견이라는 말은 잘 쓰지 않는다”며 “미국 학계에서도 정보 출처가 제한적인 상황, 즉 전쟁 상황에서 정부가 주는 정보대로 쓸 수밖에 없는 상황 등을 비유할 때 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민호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언론학에 해당 용어가 있나 없나를 따질 게 아니라 정치인과 긴장 관계에 있는 언론과 언론인 전체를 상대로 야당 대표가 그런 폄훼 발언을 한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민주당에선 이날도 이 대표 발언에 대한 옹호가 이어졌다. 6선 추미애 의원은 “언론이 제 역할을 다하는 워치도그인지, 아니면 기능을 안 하는 애완견인지(는) 공적 영역에서 얼마든지 지적당하고 비판받을 수 있다”고 했다. 서영교 최고위원도 “이 대표는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것”이라며 “모든 기자가 아닌 검찰 입맛에 맞게 왜곡 조작 내용 받아쓴 기자분들에게 (말한 것)”이라고 했다. 전날 같은 당 양문석 의원도 “검찰의 애완견이라는 표현은 애완견에 대한 모독”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개혁신당은 이날 이 대표와 양 의원을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한다고 밝혔다.

안규영 기자 kyu0@donga.com
유원모 기자 onemore@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