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술·담배처럼…SNS에도 경고문 넣자” 미 의무총감, 청소년 중독에 파격 제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공중보건정책의 최고 책임자인 의무총감이 술과 담배처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도 경고 문구를 적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 의회가 청소년들의 과도한 SNS 사용과 관련한 여러 규제책을 논의했지만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나온 제안이라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미 보건당국인 공중보건서비스단(PHSCC) 단장이자 의무총감인 비벡 머시는 1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기고문에서 “SNS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다는 경고문을 띄우도록 플랫폼 기업들에 요구할 때가 됐다”며 의회가 즉각 입법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머시 의무총감은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위기가 “응급 상황”이라고 진단하며 SNS를 주원인으로 꼽았다. 그는 하루 3시간 이상 SNS를 사용하는 청소년들이 불안과 우울증에 시달릴 위험이 2배 더 높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서 “지난해 조사 결과 미국 청소년들의 하루 평균 SNS 사용 시간은 4.8시간에 달했다”고 전했다.

그는 청소년 SNS 중독이 의회가 책임져야 할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머시 의무총감은 “SNS 중독은 의지력이나 양육의 실패가 아니라 적절한 안전 조치 없는 기술을 방치한 결과”라고 짚었다. SNS로 인한 정신건강 위기를 개인의 문제가 아닌 공공 안전의 문제로 봐야 한다고 꼬집은 것이다.

미 보건당국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의무총감은 ‘미국의 주치의’로 통한다. 과거 담뱃갑과 술병에 경고 문구를 부착한 것도 의무총감의 권고에 따른 것이었다. 다만 의무총감의 권한으로 경고 문구 표시를 의무화할 수는 없어 의회 입법이 필요하다.

머시 의무총감은 SNS 앱을 실행할 때마다 경고 문구를 띄우는 방안을 제안했다. 청소년 이용자와 양육자에게 SNS의 위험성을 꾸준히 상기시키자는 취지다. 미국에서 이 같은 경고 문구를 표시하는 것은 술과 담배뿐인데 효과가 있었다. NYT에 따르면 1965년 담뱃갑에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경고문이 처음 붙었을 때 미국의 성인 흡연율은 42%였는데, 2021년에는 11.5%까지 줄었다.

아울러 머시 의무총감은 SNS 플랫폼 기업의 데이터 공개를 의무화해 투명성을 높이고, 청소년 정신건강과 관련한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등 추가 조치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혜린 기자 cheri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