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국회의원 이모저모

민주 ‘이재명 방탄’ 점입가경… 검찰·법원 이어 언론에 ‘집중포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재명 옹호 나선 野 의원들

초선 의원들 이어 중진들도 가세

추미애 “언론은 물어야” 글 올려

최민희 “언론이 스스로 증명하라”

지도부 “일부 언론 지적” 확전 경계

노종면, 언론 3단체 성명에 비판

개혁신당, 李 등 윤리위 징계 요구

더불어민주당이 언론을 향해 집중포화를 쏟아붓고 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방어하며 검찰을 공격하던 민주당이 이화영 부지사 1심 판결 이후 법원을 공격한 데 이어 이번에는 언론을 타깃으로 삼고 있다. 지난 14일 이 대표가 언론을 ‘검찰 애완견’이라고 한 표현이 방아쇠가 됐다. 친명(친이재명)계 초선 의원들이 신호탄을 쐈고, 나흘이 지난 18일에도 포격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언론 스스로 증명해라”

이날도 ‘검찰 애완견’에 대한 논쟁은 계속됐다. 이번에는 초선 의원들뿐만이 아닌 당 중진도 가세했다. 이 대표의 발언에 이은 여진(餘震)이 아니라 이 대표의 발언이 전진(前震)이 되어 언론과의 대립각은 더욱 거세지는 분위기다.

당 최다선인 6선 추미애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언론은 물어야 한다. 질문(Questioning)을 하고 추궁하고 대답이 없거나 틀리면 무는 것(Biting)”이라며 언론의 별칭 개(Dog)에 관해서 설명했다. 추 의원은 이어 “화를 내기 전에 언론이 마땅히 해야 하는 것은 지금이라도 합리적 의심을 배제할 수 없는 것에 의문을 던지고 질문을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최민희 의원도 “스스로 랩독(Lap dog·애완견)이 아님을 증명하시라”는 제목의 글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시했다. 최 의원은 “언론자유는 언론인들이 지키는 것”이라며 “이 대표에게 사과를 요구하기 전에 스스로 증명하라”며 강하게 질타했다. 제 역할을 못 하는 언론이 스스로를 성찰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이 대표도 “언론이 제 발언의 앞뒤를 자르고 왜곡해서 공격한다”는 등의 인식을 종종 드러낸 바 있다.

친명계 이연희 의원은 언론 지형이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바라봤다. 이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의 잘못과 불법에는 찍소리도 못하는 한국 언론이 야당 대표의 바른말에는 당당하게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야당이 아니라 권력 앞에 당당한 언론, 국민 여러분의 힘으로 만들어주시기 바란다”고 언론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사태는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언론은 개혁 대상이 된다는 민주당의 생각을 단적으로 보여줬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체가 아닌 일부 언론이 문제”

당 지도부는 일부 언론의 행태를 지적한 것이라며 확전을 경계하는 모양새다. 이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일부 언론의 실재하는 애완견, 경비견 행태를 지적한 것”이라며 “언론에 대한 국민 신뢰가 낮아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함께 성찰하고 돌아볼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저와 민주당 또한, 입법·행정·사법에 이은 제4부로서 언론이 국민을 위한 권력 감시견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또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하겠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진화에 나섰다. 서영교 최고위원도 이날 KBS라디오에서 “검찰이 준 것을 받아서 쓴 검찰발 기사만 쓰고 다른 정황들이 다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그걸 쓰지 않은 그 기자를 향해서 표현한 것”이라며 “모든 기자에게 그런 게 아니다”라며 공격 대상을 축소했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길은 잠잠해지지 않고 있다. 언론인 출신 노종면 원내대변인은 한국기자협회, 언론노조, 방송기자연합회의 성명서에 대해 “제 발언과 입장 어디에 언론 폄훼가 있던가”라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일부 언론의 특정 보도 행태를 지적했음에도 싸잡아 비난한 것으로 비약하고, 본질보다 외양을 부각해서 뭘 어쩌자는 건가”라며 논쟁을 재점화했다.

개혁신당도 논란에 참전했다. 개혁신당 천하람 원내대표는 이날 언론 관련 발언과 관련해 이 대표와 양문석 의원을 국회 윤리위원회가 징계해 달라고 요구했다. 국회 윤리위 제소를 위해선 최소 20명 이상 국회의원이 동의해야 한다. 천 원내대표는 “민주당에서 17인의 의인이 나왔으면 한다. 언제까지 국민의힘 의원들에게만 ‘채상병특검법’에 소신 있게 표결하라고 말할 것인가”라며 민주당이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민주당은 언론개혁도 검찰개혁과 마찬가지로 22대 국회 주요 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언론개혁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켰고, ‘방송3법(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과 방송통신위원회 의결 정족수를 4인 이상으로 하는 ‘방통위법 개정안’을 밀어붙이고 있다.

최우석 기자 dol@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