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베를린 슈타츠카펠레 동양인 최초 악장, 늘 긴장하며 연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이올리니스트 이지윤, 29일 독주회

450년 역사 독일 명문 악단 악장

국내서 이름 내걸고 첫 독주회

"바이올린은 음악 인생의 동반자"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악장으로서 약간의 부담감은 항상 가지고 있으려고 합니다. 어느 정도 긴장해야 실수하지 않으니까요.”

바이올리니스트 이지윤(32)은 최근 이데일리와 서면 인터뷰에서 450여 년 역사를 자랑하는 독일 명문 악단 베를린 슈타츠카펠레의 동양인 최초 여성 악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데일리

바이올리니스트 이지윤. (사진=마스트미디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지윤은 2016년 칼 닐센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우승하면서 세계 음악계에 이름을 알렸다. 2017년 거장 다니엘 바렌보임(82)이 이끌던 베를린 슈타츠카펠레의 첫 동양인 여성 악장으로 발탁돼 화제가 됐다. 베를린 슈타츠카펠레는 작곡가 멘델스존, 바그너,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등이 음악감독으로 활동했던 유서 깊은 악단이다. 오는 9월부터 독일의 새로운 지휘 거장 크리스티안 틸레만(65)이 음악감독을 맡는다.

이지윤은 2022년 11월 베를린 슈타츠카펠레의 첫 내한공연에 참여해 악장으로서의 리더십을 국내 관객에게 보여줬다. 당시 바렌보임이 건강악화로 공연을 함께하지 못하면서 틸레만이 대신 지휘봉을 잡았다. 이지윤은 악장으로 오케스트라를 이끌며 최고의 연주력을 선보여 호평을 받았다.

‘동양인 최초 여성 악장’이라는 부담을 이겨낼 수 있었던 것은 음악 덕분이었다. 이지윤은 “(부담은 있었지만) 바렌보임의 리드에 최대한 잘 맞추려고 노력하다 보면 어느 순간 음악에 빠져 연주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한 “동양인으로 힘든 점은 없었지만, 언어의 장벽은 어려웠다”며 “악장이면서도 악단 내에서 나이가 가장 어렸기에 항상 빠른 눈치로 카멜레온처럼 한국인과 독일인의 역할을 해야 했다”고 덧붙였다.

이지윤은 오는 29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 독주회를 열고 국내 관객과 만난다. 이지윤이 독주회를 여는 것은 2020년 금호아트홀 상주음악가 공연 이후 약 4년 만이다. 자신의 이름을 오롯이 내걸고 독주회를 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공연 프로그램은 바그너, 슈트라우스, 슈만, 브람스 등 평소 이지윤이 애정하는 작곡가들의 작품으로 꾸렸다. 이지윤은 “독일에 살면서 제일 많이 다루고 연주해 본 작곡가들의 작품들로 프로그램을 모았다”며 “처음 제 이름을 걸고 하는 독주회이기 때문에 제일 편하게 느끼는 작곡가들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성신여대 초빙교수인 피아니스트 일리야 라쉬코프스키가 함께 무대에 오른다. 이지윤과는 2020년 금호아트롤 상주음악가 무대로 호흡을 맞췄다. 이지윤은 “2020년은 코로나19가 유행할 때라서 (라쉬코프스키와) 리허설을 많이 하지는 못했지만 그럼에도 음악적 코드가 잘 맞았다”며 “반주자로서의 역할을 잘 맞춰주는 연주자로 기억에 남아 연락을 했고 흔쾌히 수락해줬다”고 말했다.

이지윤은 올해 독주회 외에도 다양한 무대로 국내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오는 20일에는 성남문화재단 마티네 콘서트에서 국립심포니오케트라와 협연한다. 7월에는 평창대관령음악제에 출연하며, 10월에는 아트센터 인천에서 지휘자 최수열,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할 예정이다. 이지윤은 “11월과 12월에도 한국에서 다양한 연주로 인사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지윤이 처음 바이올린을 잡은 것은 4세 때부터다. 이지윤은 바이올린이 지겨웠던 적은 없었는지에 대한 질문에 “맨날 지겹다”고 농담으로 답했다. 그는 “바이올린은 제가 음악을 하는데 쓰는 도구의 하나이며, 바이올린 레퍼토리는 거의 모든 곡을 해본 것 같다”며 “바이올린은 음악 인생의 앞날을 함께 할 동반자”라고 애정을 나타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