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K콘텐츠, 매출 200조원 국가전략산업 육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게임·웹툰·영화·음악 등 'K콘텐츠'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K콘텐츠 복합문화단지'를 2035년까지 글로벌 랜드마크로 키우고, 총 5조원대 콘텐츠 정책금융을 2027년까지 공급한다. 현 정부 임기 내 콘텐츠 수출 250억달러 달성 목표도 제시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18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LH기업성장센터에서 '제8차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를 주재하고 'K콘텐츠 글로벌 4대 강국 도약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고부가가치 콘텐츠 산업에 국가적 역량을 집결해 2027년까지 K콘텐츠 매출액을 200조원, 수출액은 250억달러로 확대한다는 목표을 제시했다.

전자신문

K콘텐츠 복합문화단지 조성 계획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자신문

제8차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가 18일 경기 성남시 경기기업성장센터에서 열렸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발언을 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콘텐츠 복합단지'는 K콘텐츠에 대한 세계적 인기에도, K콘텐츠를 대표할 랜드마크가 부재해 콘텐츠 단순 소비 외 추가적인 부가가치 창출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서 나왔다.

정부는 2035년까지 향후 30년 세계 콘텐츠 산업을 이끌 글로벌 랜드마크 'K콘텐츠 복합문화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내년까지 기본구상을 발표하고 2026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타당성조사를 한 후, 2035년 최종 준공한다.

또 △'글로벌 콘텐츠산업 아카데미'를 통한 전문인력 양성 △ '콘텐츠체험학교'를 통한 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 △'창업·제작센터'를 통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해 생태계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2027년까지 총 5조원대 콘텐츠 정책금융도 공급한다.

전자신문

제8차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가 18일 경기 성남시 경기기업성장센터에서 열렸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발언을 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익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모태펀드 문화계정에 2조4000억원, 대형 콘텐츠 집중 투자를 위한 K콘텐츠·미디어 전략펀드에 1조원 등을 공급해 콘텐츠 기업 자금난을 해소할 계획이다.

한 총리는 “콘텐츠 4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플랫폼과 창작자 등 콘텐츠 산업의 주요 플레이어들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 세계 콘텐츠 시장은 인공지능(AI),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디지털 혁신과 함께 2027년까지 연평균 4.5%씩 성장해 약 3조3500억달러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AI 기술을 매개로 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디바이스 등 콘텐츠 생태계 전반에 급격한 기술혁신이 전개되고 있다.

국내 콘텐츠 산업 또한 매출액은 2022년 역대 최고치인 151조원으로, 2011년(83조원)보다 1.8배 이상 성장했다. 수출은 2022년 132억달러를 기록해 같은 기간 3배 이상 커졌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