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신혼부터 은퇴까지 과반은 '맞벌이'...혼자 살아도 63%는 직장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발표
'60세 이상' 제외 모든 연령대서 '맞벌이' 과반
1인 취업가구 63.3%...전년대비 12만가구 '쑥'


파이낸셜뉴스

서울 시내의 한 초등학교에서 맞벌이 가정 등 돌봄이 필요한 학생들이 등교를 하고 있다. 2024.2.5/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맞벌이·1인 취업 가구 비중이 전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역대 최대 수준을 경신했다. 60세 이상 노부부를 제외하면 15~59세까지 전 연령대에서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절반을 넘어섰다. 1인 가구의 취업도 여성 취업률이 전년 대비 0.4%p 늘어나며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결혼·육아에 '맞벌이' 필수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배우자가 있는 가구 가운데 맞벌이 가구는 611만5000가구로 48.2%를 차지했다.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한 전년(584만6000가구)에 이어 연속으로 최대 비중을 경신했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을 뺀 전 연령대에서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50% 이상을 나타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고용시장의 견조한 흐름이 이어지며 부부 모두 일하는 가구의 비중이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30~39세(58.9%), 50~59세(58.0%), 40~49세(57.9%), 15~29세(52.6%) 순으로 높았고 60세 이상 가구에서도 32.5% 가량을 차지했다. 전 연령대에서 맞벌이 가구 비중은 빠짐없이 증가했다.

자녀가 있는 경우 맞벌이 필요성은 더 커지는 모양새다. 18세 미만 자녀를 둔 유배우 가구는 저출산이 진행되며 2만6000가구 줄었지만 이 가운데 맞벌이 가구는 오히려 12만9000가구 늘었다.

유배우 가구 대비 맞벌이 가구 비중은 13~17세(62.6%)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맞벌이 가구 비중은 전년대비 6세이하 3.9%p, 13~17세 3.1%p, 7~12세 3%p 등으로 각각 상승한 51.5%, 58.6%를 기록했다.

반면 자녀 수가 늘어날 수록 맞벌이에서 이탈하는 현상도 나타났다. 유배우 가구 대비 맞벌이 가구 비중은 자녀 1명(57.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녀 2명은 57%, 3명은 53.1% 등 여전히 맞벌이 비중은 과반을 유지하면서도 점차 줄어드는 모양새다.

고용흐름 견조...1인 취업 가구↑
1인 취업 가구는 467만 5000가구로 전년대비 12만 가구 증가하며 맞벌이 가구와 함께 최대치를 경신했다. 전체 1인 가구수도 738만5000가구로 전년 대비 늘어났음에도 오히려 취업 가구 비중은 0.2%p 늘었다.

연령별로 보면, 1인 취업 가구는 30~39세 109만 가구, 60세이상 106만6000 가구, 15~29세 90만7000 가구 순으로 많았다. 비중은 30~39세(87.4%), 40~49세(82.7%) 순으로 높았다.

공공일자리 등 노인 일자리 증가세가 고용 흐름을 견인하며 증가폭은 60세이상(1.7%p), 50~59세이상(1.4%p), 40~49세(0.3%p)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인 취업가구의 수입은 200~300만원미만 34.0%, 300~400만원미만 24.8%에 대부분이 집중됐다. 400만원 이상(2.5%p), 300~400만원미만(1.1%p) 구간에서는 증가폭이 높게 나타나며 전반적으로 수입은 개선되는 모양새다.

다만 100만원 미만을 받는 비중 역시 전년(10.7%)에 비해 11.1%로 소폭 늘었다. 2022년 1.1%p 비중을 줄인 지 1년만에 다시 저소득 구간이 증가로 전환한 셈이다. 여전히 홀로 사는 10가구 중 1가구는 100만원 미만의 수입으로 삶을 영위하고 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36.0%), 공공행정, 국방·사회보장행정(30.4%)에서 100만원 미만 비중이 높았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