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韓 ‘경영하기 좋은 국가’ 20위, 역대최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IMD, 올 OECD·신흥국 평가 결과

기업 효율성 10계단 상승 ‘23위’

‘30-50클럽’7개국중 美 다음 2위

민간 서비스수지는 ‘38→62위’ 뚝

헤럴드경제

한국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67개국 중 20위를 차지해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경제성과와 정부 효율성, 조세정책 부문에선 순위가 오히려 떨어졌지만, 기업 효율성 분야에서 10계단 수직 상승하며 이를 상쇄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D는 이런 내용의 ‘2024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IMD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신흥국 등을 대상으로 매년 6월 세계경쟁력연감을 발표한다. 국가경쟁력은 기업을 경영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역량을 평가한다.

▶‘30-50클럽’서 미국 다음 2위...기업 효율성·인프라↑=IMD가 계량지표와 올해 3~5월 설문한 지표를 토대로 발표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가경쟁력 순위는 올해 20위를 기록했다. 지난해(28위)보다 8계단 상승했다. 1997년 평가 대상에 포함된 이래 최고 순위다.

1위는 작년(4위)보다 3계단 상승한 싱가포르가 차지했고, 스위스, 덴마크, 아일랜드, 홍콩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대만이 8위, 미국과 중국은 각각 12위, 14위로 나타났다. 일본은 38위다. 독일은 작년 22위에서 올해 24위로 떨어져 우리나라보다 밑으로 내려왔다.

우리나라는 국민소득 3만달러·인구 5000만 이상 국가인 ‘30-50클럽’ 7개국 중에서는 미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인구 2000만명 이상 30개국 중에선 7위다.

4대 분야별로 살펴보면 ‘기업 효율성’ 분야에서 10계단 껑충 뛰어올라 지난해 33위에서 23위로 수직 상승했다. 생산성·효율성(41→33위), 노동시장(39→31위), 금융(36→29위), 경영관행(35→28위), 태도·가치관(18→11위) 등 5개 부문에서 모두 상승했다.

‘인프라’ 분야도 16위에서 11위로 5계단 올라갔다. 기본 인프라(23→14위), 기술 인프라(23→16위), 과학 인프라(2→1위), 교육(26→19위) 등의 부문 순위가 오른 결과다. 다만, 인프라 분야서 보건·환경 부문은 한 계단(29→30위) 낮아졌다. 보건인프라(14→27위) 항목 순위가 떨어진 영향이다. 지난 3~5월 ‘의대 증원 및 전공의 파업’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민간 서비스 수지도 큰 폭 악화...조세 부담 증가에 순위 하락=반면 ‘경제성과’ 분야는 14위에서 16위로 두계단 하락했다.

성장률(44→34위) 등 국내경제 부문 순위가 11위에서 7위로 올랐으나 국제무역 부문이 42위에서 47위로 떨어졌다. 국제무역 세부 지표 중 전반적 무역수지(54→49위) 순위는 상승했지만 여행수지 악화 등으로 민간 서비스수지 순위가 38위에서 62위로 큰 폭 하락했다. 국제투자와 물가 부문도 각각 3계단(32→35위), 2계단(41→43위) 하락했다. 고용 부문은 4위로 유지됐다.

‘정부 효율성’은 38위에서 39위로 떨어졌다. 재정(40→38위), 제도 여건(33→30위), 기업 여건(53→47위), 사회 여건(33→29위) 등 4개 부문 순위는 올랐지만 조세정책이 26위에서 34위로 하락했다. 특히 2022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조세가 32위에서 38위로, 소득세가 35위에서 41위로, 법인세가 48위에서 58위로 떨어졌다. 조세 부담 증가가 순위 하락으로 이어진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앞으로 평가 결과를 참조해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 정책 기조에 따라 기업 효율성 제고를 더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김용훈 기자

fact0514@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