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집값 2025년~2026년에 폭등한다고?”...주택산업연구원의 경고 나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산연 “수도권 이어 지방광역시
9∼10월 강보합세 전환될 가능성”
공급감소 지속땐 집값 폭등 우려


매일경제

얼어 붙은 주택시장. 서울 강남구 대모산 정상에 겨울동안 내린 눈이 아직 녹지 않고 있는 가운데 서울 시내 아파트들의 모습이 보이고있다. [김호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 하반기 서울과 수도권에 이어 지방 광역시의 아파트 가격도 강보합세로 전환될 것이란 전망이 나와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금리 인하 가능성과 경기 회복, 공급 부족 등이 맞물린 상황에 택 공급 물량 감소가 계속될 경우 2025∼2026년 집값 폭등 현상 재현 가능성도 제기됐다.

18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주택 매매 가격의 경우 올해 전국적으로는 작년에 비해 1.8%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주택 매매가격 전국 지표의 경우 2022년 -4.7%, 2023년 -3.6%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하락 폭이 더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과 수도권은 각각 1.8%, 0.9% 상승하는 반면, 지방은 2.7% 하락을 예상했다. 다만, 지방에서도 상대적으로 일자리가 많은 지방광역시 내 아파트는 오는 9∼10월께 강보합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매일경제

올해 주택 가격 전망 [자료 = 주택산업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원 측은 “지난 3월 말 서울지역 아파트에 이어 지난달 말부터는 인천·경기 등 수도권 인기 지역 아파트가 상승세로 돌아섰는데, 이 흐름이 지방광역시로 확산될 수 있다”면서 “올해 하반기 수도권 1기 신도시 재정비 선도지구가 지정될 경우 해당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이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주택 전세가격은 지난해보다 상승 폭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전국 기준 예상 상승률은 0.8%로 추정했다. 지역별로는 서울(2.3%)과 수도권(2.5%)은 오르는 반면, 지방은 1.7%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상승 요인으로는 공급 물량 감소와 2020년 7월 시행된 임대차법상의 전세 계약 4년 만기 도래가 지목됐다. 다만 일부 지방광역시와 시군 지역은 미분양 등으로 공급이 수요보다 많아 전월세 하락세가 유지될 것으로 연구원은 전망했다.

아울러 주택 공급의 경우 올해 인허가 물량은 38만 가구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2017∼2021년 연간 평균치(54만가구)보다 30% 줄어든 수준이다.

주택공급 물량 감소는 공사비 증가와 미분양 적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 대출 금리 상승 등 여러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 따른 것이다. 연구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주택 공급 물량 감소세가 지속된다면 내년이나 내후년에 공급 부족에 의한 집값 폭등세가 재현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다만 이전에 인허가를 받고 착공을 미룬 물량(25만 가구) 중 일부가 집값 상승 전환 지역을 위주로 착공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되면서 올해 착공 물량은 35만 가구로 지난해(24만2000가구)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분양 물량도 지난해(19만2000가구)보다 늘어난 28만 가구를 기록할 것으로 연구원은 추산했다. 아울러 올해도 비아파트인 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과 전용 60㎡ 이하 소형주택의 공급은 줄어들 것으로 봤다. 특히 비(非)주택인 오피스텔과 생활숙박시설의 경우 예년 평균 대비 90%가량 급감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주택시장에 진입하는 30세 도달 인구 증가, 독신·외국인 가구 증가 등으로 ‘가구 증가’가 지속되면서 주택 기본 수요는 2030년까지 50만 가구 안팎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연구원은 “2020∼2024년 5년간 주택 수요량에 비해 공급 부족량이 86만가구가량 누적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나아가 금리 인하와 경기 회복 등에 따라 실제 구매 수요도 빠르게 회복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