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조규일 진주시장, ‘진주대첩광장’ 현장 방문 추진 상황 점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차장·편의시설 갖춘 1만9870㎡ 규모

기본계획 수립 후 17년 만에 준공

올 8월 완공 후 10월 축제장으로 활용

조규일 진주시장은 지난 17일 제 모습을 조금씩 드러내기 시작한 본성동 촉석문 앞 ‘진주대첩 광장’ 조성사업 현장을 방문해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하면서 안전사고 예방에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진주대첩 광장 조성사업은 총사업비 940억원을 들여 대지면적 1만9870㎡에 연면적 6382㎡ 규모로, 지하 1층은 149면의 주차장을 갖추고 지상은 최소한의 공원지원시설과 역사공원으로 구성돼 올해 8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당초 진주대첩 광장 조성 사업은 올해 5월 봄꽃과 함께 공사 가림막을 철거하여 공원을 개방하고 6월 최종 준공을 계획하였으나, 예기치 못한 잦은 강우로 준공이 늦어졌다. 그러나 10월 축제장으로 활용하는 데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경제

조규일 시장이 ‘진주대첩광장’현장 방문 추진 상황 점검을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진주시는 진주대첩 광장 조성을 위해 지난 2007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10여년간 부지 108필지 1만3000㎡, 건물 81동에 이르는 대규모 보상 협의와 건물 철거 작업, 3년간의 문화유산 지표조사 및 정밀 발굴조사를 시행했다.

그리고 여러 차례의 국가유산층 자문과 심의를 거쳐 문화유산 현상변경허가를 받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였다. 이후 실시설계 과정에서 경제성 검토, 지방건설기술심의 등 복잡하고 다양한 행정절차를 완료하고 기본계획 수립 15년 만인 2022년 2월 착공식을 가졌다.

현재 149면의 주차공간과 다용도 이용시설로 구성될 지하 1층은 골조 공사와 방수 공사, 도색 공사를 마치고 전기, 소방, 통신 설비 공사를 진행 중이며, 전시홍보관과 촉석문 매표소, 카페, 화장실, 창고시설로 구성될 지상부 공원지원시설은 골조 공사를 마무리하고 내부 설비 공사 중이다.

공원지원시설의 지붕은 PC 슬래브 계단식 형태로 마무리돼 400명 정도의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어, 완벽한 문화 활동 공간으로서 10월 축제 기간에 많은 행사를 치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공원지원시설을 제외한 지상부는 땅의 기억과 시간의 흔적을 찾고, 발굴된 유적과 더불어 터가 가진 역사적 기록을 담은 역사공원으로서 모습을 갖추기 위한 성토작업을 마쳤다. 공원 주(main)도로에 뿌리내릴 팽나무와 느티나무를 심었으며 군락을 이룰 소나무도 곳곳에 심었다. 교목과 관목, 초화류 등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아름답게 마무리될 역사공원의 수목 식재는 7월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시는 장기간에 걸쳐 어렵게 추진된 진주대첩 광장 준공의 역사적인 순간을 후세에 길이 남기고자 준공기념 퍼포먼스로 ‘바닥재 각인 문구 공모’를 올해 2월에 시행하였다. 진주대첩 광장에 관심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했던 바닥 각인 문구의 개수는 제1차 진주대첩 승 전년도인 1592년에 의미를 두고, 1592개로 결정하였다.

공모를 통해 접수된 문구는 전문가 자문을 거쳐 공원 주(main)도로에 조화롭게 배치될 예정이다. 현재 바닥재를 제작 중이며, 8월 공원 내 포장 공사를 통해 시민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1300여 년 잠들어 있다 문화유산 발굴과정에서 고고한 자태를 드러낸 통일신라 시대 배수로와 고려 시대 토성, 조선 시대 석성은 원형 보존이라는 국가 유산 청의 허가 조건에 맞춰 유구 보존 및 정비 사업을 진행한다. 배수로와 토성은 복토하여 유구를 재현한 후 안내 시설물 등을 설치하고, 진주성 외성은 원형 보존 처리 후 북측 사면을 복토하여 정리할 계획이다. 발굴 유적 상부는 진주의 자랑인 진주성 및 주변 조경 시설과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잔디 식재 후 발굴 유적을 관람할 수 있는 역사 탐방로를 설치하고 조명시설도 갖출 계획이다.

시는 과거의 문화유산을 계승해 현재와 공존하면서 다음 세대를 준비하는 공간으로 조성될 진주대첩 광장을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인 진주대첩의 역사성을 제고하고 진주의 얼을 담아내는 시설물로 형상화하기 위해 관람로마다 재료를 달리하여 시대상을 반영할 계획이며, 광장을 걷는 시민이 역사 속의 한 장면을 걷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정성스럽게 조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건축의 거장 승효상 건축가의 제안을 받아 국가유산층 전문가의 의견과 사적 분과위원회 심의를 통해 지상 공원 계획을 일부 변경해 진행하였다. 시에서는 진주시민의 자랑이 될 또 하나의 명소로 탄생시키고자 조경 식재 및 포장 소재 하나하나 고민하며 세심한 주의를 아끼지 않고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날 현장 점검에 나선 조규일 시장은 “올해 유난히 잦은 강우로 공사 진척에 애로가 있었지만, 장기간에 걸쳐 어렵게 진행된 사업인 만큼 끝까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관계자들에게 당부했다.

이어 “진주대첩 광장이 완성되면 10월 유등축제의 핫플레이스이자 국난극복 역사 현장을 관광 자원화해 침체한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게 될 것”이라며 “진주시 또 하나의 명품 랜드마크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최순경 기자 tkv012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