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하마스·이스라엘 무력충돌

네타냐후, 이스라엘 전시 내각 해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파이낸셜뉴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대가 17일(현지시간) 예루살렘 이스라엘 의사당 인근에서 시위하고 있다. 이스라엘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네타냐후 총리는 16일 밤 안보 내각 회의에서 전시 내각 해체 결정을 통보했다. 로이터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결국 전시 내각을 해체했다.

하마스와 휴전을 요구하던 중도파 수장 베니 간츠가 강경파에 휘둘리는 네타냐후 총리에게 실망해 내각을 탈퇴한데 따른 예고된 순서였다.

에이모스 혹스타인 미국 특사가 17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을 방문한 가운데 전시 내각이 8개월 만에 와해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네타냐후는 전날 밤 안보 내각 회의에서 지난해 10월 개전 초 구성된 전시 내각을 해체했다고 밝혔다.

전시 내각은 소수로 구성돼 그동안 최고 의사결정 기구 역할을 해왔다.

앞서 중도파 수장 간츠는 네타냐후가 강경파에 휘둘려 하마스와 갈등을 심화해 인질 석방을 어렵게 하고 있다며 전시 내각에서 탈퇴한 바 있다.

전시 내각이 해체됨에 따라 네타냐후는 안보 내각을 통해 전쟁 의사 결정을 하게 됐다.

이스라엘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네타냐후는 민감한 문제들은 소수 그룹과 상의해 결정하게 된다.

간츠와 함께 또 다른 중도파인 가디 아이젠코트 역시 전시 내각에서 발을 뺐다.

이들이 빠지자 극우 세력인 이트마 벤-지비르 안보장관과 베잘렐 스모트리히 재무장관이 전시 내각 참여를 요구했지만 네타냐후는 전시 내각 대신 안보 내각을 통해 중요 사안들을 결정하기로 했다.

이들이 탈퇴하면서 네타냐후는 더 이상 중도파의 눈치를 보지 않게 됐지만 미국의 압박으로부터는 자유롭지 못하다.

미국은 이스라엘을 전폭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하마스와 휴전을 통해 인질들을 석방토록 하라고 압박하고 있다.

혹스타인 특사는 17일 이스라엘에서 네타냐후를 비롯한 이스라엘 고위 관계자들을 잇따라 접촉했다.

18일에는 레바논에서 그 지역 고위 관계자들을 만난다.

혹스타인의 이스라엘, 레바논 방문은 이스라엘이 하마스와 전투를 지속하는 한편 북쪽 국경을 맞대고 있는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와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이뤄졌다.

이스라엘이 레바논 남부를 공격해 헤즈볼라 최고 간부 가운데 한 명인 탈레브 사미 압둘라를 살해하면서 양측 국지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헤즈볼라는 그 보복으로 이스라엘에 사흘 동안 로켓과 드론 수백 발을 쐈다.

국제 사회의 비판 속에서도 하마스와 전쟁을 멈추지 않고 있는 이스라엘이 헤즈볼라와 긴장이 높아지는 가운데 전시 내각 해체가 이스라엘을 격랑 속으로 몰아넣을 전망이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