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전세계 돈 ‘이 나라’가 빨아들인다...중국에선 썰물처럼 빠져나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IRA·반도체법 등으로 투자 몰려
저금리 중국 해외투자 4개월째 감소
“미국이 對신흥국 투자자금 흡수”
美금리인하·대선·재정적자 등은 우려


매일경제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AP = 연합뉴스]


‘나홀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온 미국이 팬데믹 이후 고금리와 국내 투자 유인 산업정책 덕분에 전세계 자금을 대거 빨아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국기업 감시 정책과 저금리 기조를 유지한 중국에서는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간 것이 수치로 확인됐다.

블룸버그는 16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분석해 전세계 해외 투자금 중 미국으로 흘러간 투자금 비중이 팬데믹 직전 평균 18%에서 현재 3분의 1 수준으로 늘었다고 보도했다.

대(對) 미국 투자가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고금리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23년만에 최고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이를 노린 투자금이 대거 들어온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법 등을 통해 대규모 인센티브를 제공한 것도 해외 기업의 대미 외국인직접투자(FDI) 증가에 기여했다.

블룸버그는 미국으로의 해외투자 쏠림 현상은 팬데믹 이전 해외투자가 중국 등 신흥국 중심으로 이뤄졌던 것을 감안하면 대조적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미중갈등이 깊어지면서 대중 투자에도 악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IMF에 따르면, 국가 간 자본흐름 총액에서 중국 비중은 2019년까지 10년간 7% 수준이었지만 2021∼2023년 3% 수준으로 내려왔다.

중국 상무부 자료를 봐도 중국으로의 FDI가 올 4월까지 4개월 연속 줄었고, 미국 고금리와 중국 저금리가 대비되면서 중국 기업들의 외화 매수가 2016년 4월 이후 최고를 기록하는 등 자본이 유출되는 상황이다.

대중 투자 감소는 중국의 저금리 정책도 한몫했다. 중국은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5년물은 3.95%, 1년물은 3.45%로 유지 중이다. 연준의 5.25~5.5%보다 낮은 수준이다.

신흥국으로의 투자도 줄었다. 최근 신흥국으로 유입되는 투자보다 유출되는 자본이 더 늘었다. 이는 지난 2000년 이후 두 번째다. 지난해 신흥시장으로의 FDI 규모는 국내총생산(GDP)의 1.5% 수준으로 2000년대 들어 최저 수준이다.

국제금융협회(IIF)의 조너선 포튼 이코노미스트는 “빅보이(미국)가 모든 관심을 독차지하고 있다”면서 “미국이 신흥국으로 흘러갈 자금 일부를 고갈시켰다”고 평가했다.

다만 미국으로의 투자를 가로막을 수 있는 리스도 상존한다. 향후 미국이 예상대로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경우 미국 자산의 투자 수익률이 내려갈 수 있다. 아울러 오는11월 미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집권할 경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을 뒤집을 수 있어 정책적 불확실성이 제기된다.

미국의 눈덩이처럼 늘어가는 재정적자와 미국의 정치적 양극화 등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TS롬바드의 그레이스 팬 이사는 “법치가 다음 대통령 임기 동안에도 우세할지가 제도적 관점에서 큰 문제”라면서 “이는 탈달러 움직임이 서서히 힘을 얻는 상황에서 미국 자산에 대한 충분한 투자자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기본”이라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