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럴줄 알았어”…올 들어 韓 증시 거래 절반이 ‘단타’였다[투자36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스닥 데이트레이딩 역대 최고

거래량 58%·거래대금 48% 차지

단타 71% 개인, 외국인 17% 기관 10%

노브랜드 삼성공조 한국석유 등 단타 집중

박스권 장세 장기화 영향도

헤럴드경제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올해 국내 주식시장 거래의 절반 가량이 주식을 구입한 날 바로 되파는 단타 매매인 ‘데이트레이딩(당일매매)’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13일까지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데이트레이딩 거래량은 총 1천20억9774만주로 전체 거래량(1752억3760만주)의 58%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데이트레이딩 거래대금은 총 1111조원1139억원으로 전체 거래대금(2302조5862억원)의 48%를 나타냈다.

데이트레이딩 비중(거래대금 기준)은 코스닥이 코스피보다 높았다. 올해 코스피 거래대금의 40.1%, 코스닥 거래대금의 57.1%가 데이트레이딩이었다.

특히 올해 코스닥 거래대금에서 데이트레이딩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관련 집계를 시작한 뒤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53%, 55%였다.

코스닥 시장의 경우 데이트레이딩이 매년 증가 추세다. 2005년부터 2019년까지는 주로 40%대를 유지하다가, 2020년부터 50%대로 올라섰다.

코스피 시장의 경우 최근 5년간 30∼40%대에 머물렀다. 2022년과 2023년에는 각각 40.8%, 40.1%가 데이트레이딩이었다.

데이트레이딩 주체는 개인 투자자 비율이 높았다. 올해 코스피·코스닥 데이트레이딩 중 개인은 71.3%를 차지했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7.8%, 10.2%를 차지했다.

단타의 기승은 글로벌 증시가 강세장을 펼치는 와중에도 국내 증시는 장기간 박스권에 갇혀 상대적으로 부진한 데 따른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코스피 시장에서 데이트레이딩 비중이 가장 높은 종목은 삼성공조(84%)였으며, 코오롱모빌리티그룹(80%), 동일고무벨트(79%), 비상교육(78%), 제주은행(78%), 한국석유(78%), 광전자(77%), 하이스틸(77%), 대영포장(76%)이 뒤를 이었다.

한국석유의 경우 아스팔트 등 석유공업제품 생산기업으로 석유·가스 채굴과 관련이 없지만 ‘동해석유 테마주’로 묶이면서 주가가 폭등하다가 최근 상승분을 대거 반납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종목들이 대부분 데이트레이딩 비중 상위권을 차지한 가운데 노브랜드(89%)가 7위를 기록했다.

씨씨에스(79%), 와이씨(75%), 신성델타테크(73%), 필옵틱스(70%), 제주반도체(68%) 등도 데이트레이딩 거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