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창원 S-BRT 개통 한 달…이용객 증가·통행시간 단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창원 S-BRT 개통 한 달 분석…통행 4~6분 감축, 이용자 2.8% 늘어

일반차량 통행시간, 공사 전보다 2~3분 증가…창원시 "안정화단계 접어들어"

노컷뉴스

창원시 원이대로 S-BRT. 창원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창원시 원이대로 S-BRT(고급간선급행버스체계) 임시개통 이후 한 달 동안 시내버스 이용자는 증가했고, 통행시간도 점차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단 한 건의 안전사고 없이 BRT 체계가 안정화단계로 접어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지난 5월 15일 임시 개통 이후 개통 초기에는 BRT 중앙정류장 탑승 방향에 대한 혼란, 신호체계 변경과 잦은 신호 걸림이 가장 큰 불편 요소로 나타났다. 이후, BRT 정류장에 방향 안내표지를 설치해 버스 탑승 방향 혼란을 해소했고, 신호체계 개선 TF를 구성해 매일 교통상황을 점검하며 차량 소통을 개선하고 있다.

또, 창원 원이대로 S-BRT는 개통 이후 한 달간 단 한 건의 안전사고도 없이 안정적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통행 소요 시간도 상당 부분 개선됐다. 임시 개통 당시 도계광장~가음정사거리까지 9.3km 구간 시내버스 통행시간은 32~34분 소요되다가, 현재 26~30분으로 4~6분 단축됐다. S-BRT 공사 전인 지난해 4월과 비교해도 약 13~19%가 향상됐다.

일반차량은 개통 당시 전 구간을 통행하는데 30~32분 걸렸지만 신호체계 개선으로 27~30분으로 단축됐다. 반면 지난해 4월과 비교하면 약 2~3분 정도 더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컷뉴스

창원시 원이대로 S-BRT. 창원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내버스 이용객의 증가세도 눈에 띈다. 원이대로 S-BRT 구간의 42개 정류장을 기준으로 개통 전에는 하루 평균 이용객이 2만6027명이었으나, 임시 개통 후 2만6766명으로 약 2.8% 증가했다. BRT 전용노선인 5000번, 6000번의 이용객도 1만3761명에서 1만4642명으로 6.4% 증가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전체 시내버스 이용객의 증가 폭은 더욱 크다. 2023년 5월 기준 하루 이용객은 19만9477명이었으나, 올해 5월에는 21만7448명이 이용해 하루 1만8천 명, 9%가 증가했다. S-BRT 개통과 함께, 지난해 6월 시내버스 노선 전면개편과 무료 환승 2회 증가, 어르신(75세 이상) 시내버스 무료이용 정책과 연계해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의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는 앞으로 3개월간 효과성 모니터링 용역을 통해 S-BRT 개통 전·후 버스와 승용차 통행시간, 교통량 변화, 버스 이용객 증감 등을 비교·분석하고, 정류장 혼잡도, 보행환경, 교통사고 등도 종합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새로운 교통체계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시행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보완·개선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올해 하반기에는 버스 승하차시 교통카드 단말기 접촉 없이 시내버스 탑승이 가능한 태그리스(대중교통의 하이패스) 도입, 버스 이동 경로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초정밀 버스 서비스, S-BRT 정류장 버스정보 안내 단말기(BIT) 추가 설치 등을 통해 이용 편의성을 높인다. 공단셔틀버스와 마을버스를 확대해 S-BRT를 중심으로 주거지역과 공단지역의 대중교통 연계성을 확대한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원이대로 S-BRT가 시민들이 체감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며,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로 첫발을 내디딘 만큼 앞으로 연계교통을 강화하고 트램 등 신교통수단 도입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