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월가의 영웅' 피터 린치가 찍었다?…따라 산 개미, 80% '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삽화=임종철 디자인기자



최근 피터 린치, 얀 하치우스 등 해외 유명 투자 전문가를 사칭해 카카오톡 등 SNS에서 권유한 해외주식 매수를 권유하는 신종 사기 수법이 기승을 부린다. 이들이 추천한 종목은 단기간에 80% 이상 급락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조사 결과 사기 집단은 채팅방 참여자들을 종용해 특정 해외주식을 매수하도록 하고, 주가가 오르면 보유한 주식을 매도해 이익을 얻고 잠적하는 수법을 사용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카카오톡 등 채팅방에서 해외주식 매수를 권유하고, 채팅방 참여자들의 매수세 증가로 주가가 상승하면 보유주식을 매도한 뒤 잠적하는 불법 리딩 사례가 나타났다며 소비자경보 '주의'를 발령했다.

기존 불법 리딩방은 투자자문업체를 사칭해 투자를 권유한 뒤 자금을 편취하는 방식을 썼으나, 실제 있는 종목을 추천하고 개별적으로 매수를 유도하는 방법은 새로운 수법이다.

이들은 유튜브나 포털사이트 주식투자 광고 등을 통해 개인투자자를 모집한 뒤 '국내외 유명 투자전문가와 함께하는 토론방'이 있다며 채팅방으로 유인했다. 채팅방에서는 해외 유명 투자 전문가인 피터 린치, 얀 하치우스 등 행세를 하며 생소한 해외 주식을 추천했다.

이들 종목은 해외 증시에 상장된 지 6개월도 안 돼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았고, 거래가 활발하지 않은 소형주였다. 채팅방 참여자들은 처음 1~4회 매수·매도를 반복하며 소액의 수익을 봤지만, 운영자들의 권유에 따라 보유한 자금 전부를 매수하자 주가는 80% 이상 하락했다.

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던 일당은 개인투자자들이 올린 가격에 주식을 팔았다. 유동성이 낮은 소형주는 적은 매수세로도 주가가 급격히 오른다는 점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

머니투데이

해외주식 불법리딩 사례 주요 특징 /사진=금융감독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당은 통역 앱을 사용하는 듯 어눌한 한국말을 사용하며 해외 전문가인 척 연기했다. 바람잡이 역할을 하는 운영자들은 전문가의 말을 해석하거나 상세히 설명하며 매매를 유인했다. 채팅방 참여자들이 권유한 가격에 매매 주문을 넣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매매 내역 캡쳐 파일을 요구하는 치밀함도 보였다.

주식이 폭락한 뒤 참여자들이 채팅방에 항의하면 "강력한 공매도 공격 때문"이라고 핑계를 대거나 문제를 제기한 참여자를 강제 퇴장 조치했다. 채팅방도 아예 폐쇄하고 잠적했다.

금감원은 최근 온라인 사기는 국경을 넘나드는 형태로 해외에서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SNS에서 이뤄지는 투자 권유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SNS에서 유명인을 사칭해 추천하는 종목은 대부분 거래가 활발하지 않거나 시가 총액 수준이 낮아 특별한 이유 없이 급등·급락하기 쉬워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며 "더구나 해외 주식은 국내 주식과 달리 투자자가 접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이고 사실 여부 확인도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에서 이뤄지다 보니 불법 세력에 대한 단속·법적 조치가 용이하지 않다"며 "피해를 입더라도 범죄수익 동결, 환수 등 피해구제가 어렵다"고 했다.

방윤영 기자 byy@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