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식품기업 힘쎈 조력자 구했다…'기능성원료은행' 본격 가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지난 19일 전북 익산에서 열린 '기능성원료은행 준공식'에서 양주필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오른족에서 4번째), 조배숙 국회의원(왼쪽에서 3번째), 김영재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이사장 등 석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건강·웰빙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실제 국내 건강기능식품시장은 2018년 3조 규모에서 2022년 5.4조 시장을 돌파한 뒤 매년 9%씩 성장하며 현재 6조 규모로 커졌다. 세계 건강기능식품시장도 연평균 성장률 6.9%를 기록하며 230조 시장을 구가하고 있다.

또 2020년 12월부터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도'가 시행되면서 일반식품에도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게 돼 이달 현재까지 379건의 기능성표시식품이 등록되는 등 기업 및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크다.

하지만 이같은 시장의 호황에도 불구하고 선결해야 하는 잠재적 위협들은 존재한다.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라 수입 기능성원료 및 제품 의존도가 높은 기능성식품시장의 리스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그렇다. 2019년 이전 건강기능식품 수입액은 시장 전체 매출액의 약 26% 수준이었으나, 시장성장과 함께 수입 비중 또한 높아져 2021년 기준 31.2%에 달한다.

머니투데이

기능성원료은행에 전시된 국산농산물을 소재로 한 기능성원료 /사진=농식품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자료에 따르면 전체 매출액 상위 20개 품목중 9개 원료가 나고야의정서에 적용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체 매출액의 27.9%에 해당하는 9310억원 규모로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는 수준이 됐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전북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에 기능성원료를 생산-비축-분양하는 원료 공급 체계인 '기능성원료은행'을 준공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간 것은 이같은 연장선상에서다.

23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9일 문을 연 '기능성원료은행'은 국산 농산물에서 유래한 기능성 식품소재를 생산·보관·표준화하고 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시설로 △기능성원료를 생산·가공 시스템 △원료 표준화 고해상도질량분석기 등 200여개의 첨단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지하1층, 지상3층 규모인 기능성원료은행은 △1층 원료비축 및 분양구역 △2층 원료 및 제품의 분석구역 △3층 원물 소재화 가공구역으로 구성됐다. 건축비 73억원, 원료생산 및 기술지원 장비 도입비 59억원 등 총 150억원이 투입됐다. 영세한 식품기업이 손쉽게 기능성원료를 생산·공급받을 수 있도록 했고, 농산물의 고부가가치를 통해 농가경제에 도움을 주는 선순환 구조를 지향하고 있다.

머니투데이

기능성원료은행 /사진=농식품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지난 19일 전북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에서 열린 기능성원료은행 개소식에서 양주필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농식품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원료은행은 앞으로 국산 농산물(블랙라즈베리, 복분자, 당조고추 등)의 기능성표시식품원료인정을 통해 일반식품에 적용 가능한 기능성원료를 확대하는 한편 기능성소재를 비축-분양-공급하게 된다. 또 국산 기능성표시식품 원료를 이용해 기능성표시식품을 개발하고, 기능성 농식품자원 정보서비스(fmis.kr) 포털 운영을 통해 유관기관에 산재된 기능성소재 정보(6만9815건)를 통합·제공하게 된다.

김기연 농식품부 그린바이오산업팀장은 "기능성원료은행은 농산물 생산자 단체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기업수요에 따른 품종별, 시기별 원재료를 기능성원료로 가공해 분양하게 된다"며 "주기적인 지표성분 검사를 통해 고품질의 국산 기능성원료를 안정적이고, 저렴하게 공급함으로써 식품기업은 물론 농가 모두에 시너지효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했다.

기능성원료은행이 본격 가동되면서 산업현장은 물론 농가소득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보고서에 따르면 기능성식품에 사용되는 수입산 원료를 국산으로 대체할 경우, 앞으로 10년간 765억원의 농업생산액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또 기능성식품시장 성장에 따른 국내 농업생산액은 오는 2030년 3149억원으로 증가할 뿐만아니라 해외시장 성장에 따른 수출증가 까지 더해질 경우 그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머니투데이

기능성원료은행 /사진=농식품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기능성원료은행 /사진=농식품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식품기업의 약 90%가 10인 미만의 사업장임을 고려할 때 약 5억원 이상이 소요되는 국산 기능성원료 개발을 직·간접으로 지원할 수 있게 돼 기능성표시식품시장 활성화에도 적지않은 도움이 될 전망이다.

기능성원료은행은 기업이 다양한 국산 기능성원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제품 유형에 적합한 원료를 추천하고 시제품 개발·평가를 지원하게 된다. 또 기능성표시식품 인허가를 컨설팅하는 등 기능성표시식품 제품 개발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양주필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기능성원료은행을 통해 영세한 식품기업이 손쉽게 국산 기능성원료를 생산·공급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정부도 국산 농산물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식품기업과 농가경제 모두에 도움이 되는 선순환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정혁수 기자 hyeoksooj@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