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G7 정상회담

G7 기후 대책에 환경단체·전문가 '낙제점' 평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G7 정상회의에 참가한 각국 정상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기후 문제에 있어서는 눈에 띌 만한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이전 약속을 반복하는 데 그쳤다고 환경단체들과 전문가들이 평가했습니다.

14일(현지시간) AFP 통신에 따르면 이번 이탈리아 회의에서 G7 정상들은 지난 4월 기후·에너지·환경 장관들이 합의한 '2030년대 상반기까지 석탄 사용 중단' 약속을 재확인했습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탄소중립 경로에 따라 도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지구 온도) 1.5도 상승 제한을 유지하는 것과 일치하는 일정에서' 석탄 사용을 단계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고 명시했습니다.

환경단체 그린피스의 기후정치 전문가 트레이시 카티는 "지구 온도 상승폭을 1.5도 아래로 유지하기 위해 석탄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겠다는 G7의 계획은 너무 부족하고 너무 늦었다"며 "가스는 저렴하지도 않고 안전한 기후로 넘어가기 위한 연료도 아니다"라고 비판했습니다.

G7은 세계 경제의 약 38%를 차지하며, 2021년 기준 총 온실가스 배출량의 21%를 차지합니다.

기후 전문가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인 GSCC의 니콜라 플라미니는 "G7은 가스에 대한 지속적인 공공투자의 문을 열어뒀다"고 지적했고, 환경·빈곤 단체 글로벌 시티즌의 프리데리케 뢰더 부회장은 "새로운 약속은 나오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G7 정상들의 기자회견이 열리는 미디어 센터 밖에선 기후단체 관계자 수십 명이 연좌 농성을 벌였습니다.

기후변화에 대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투쟁을 돕겠다는 의지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었습니다.

G7은 코트디부아르, 에티오피아, 케냐 등 아프리카 성장을 위한 새로운 의제를 발표했지만, 어떤 자금이 추가됐는지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또 원치 않는 이민의 근본 원인 해결을 위한 식량 의제도 공개했지만, 중앙아프리카의 지역 농민단체 플랫폼(PROPAC)의 응가 셀레스틴 사무총장은 가족 단위 농부들의 참여 없이는 효과가 없는 '어설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소규모 농민들이 전체 식량 생산의 70%를 맡고 있습니다.

빈곤 퇴치를 위한 단체인 원캠페인의 데이비드 맥네어 이사는 이번 G7 대책이 "무의미한 진부함"이라며 "올해 정상회의는 크게 실패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김경희 기자 kyung@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