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나태주의 풀꽃 편지] 내가 살고 싶은 삶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내 강연 주제는 ‘내가 살고 싶은 삶’과 ‘내가 살아야 할 삶’에 대한 것이다. 특히 젊은 청중들을 만나면 이 문제를 주로 이야기한다. 요즘 젊은이들이 이 문제를 가지고 힘들어하는 것을 미리 내가 알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삶은 물론 내가 살고 싶은 삶 쪽이다. 그런데 그것이 제대로 잘 되지 않아서 고민이라는 것이다. 당연한 일이다. 애당초 호락호락하지 않은 것이 우리네 삶이다. 한 개인의 삶은 그 혼자만의 삶으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 어울려 세상과도 연결된 삶이기에 더욱 그렇다.

내가 살고 싶은 삶은 자유와 권리에 치중한 삶이고, 내가 살아야 할 삶은 의무와 책임에 따른 삶이다. 두 가지의 삶을 두고 어느 것이 먼저라 할 것은 없다. 또 어느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하기도 어렵다. 다만 나더러 말하라면 두 가지를 병행하면서 살면 좋지 않을까 싶은 어중간한 생각일 뿐이다.

인생을 나무에 비긴다면 살아야 할 삶은 나무의 뿌리와 둥치와 줄기와 가지를 만들어 가는 단계의 삶이다. 그리고 내가 살고 싶은 삶은 그 나무에 잎새를 틔우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단계의 삶이다. 억지로 선후를 말하라면 살아야 할 삶이 먼저이고 살고 싶은 삶이 나중이 아닐까 싶다.

이렇게 말하면 젊은이들은 아니라고 고개를 돌릴 것이다. 왜 내가 살고 싶은 삶이 먼저인데 살아야 할 삶을 살라고 하느냐고 화를 낼지도 모른다. 왜 안 그럴까. 그 심정을 나도 안다. 젊은 시절 정말로 내가 살고 싶은 삶은 초등학교 선생이 아니고 시인이었으니까 말이다.

내가 초등학교 선생이 된 것은 오로지 우리 아버지의 소원 덕분이었다. 아버지 자신이 초등학교 선생을 하고 싶었는데 그 뜻을 이루지 못해 큰아이인 나에게 당신의 소원을 대신 이루게 하신 것이었다. 그렇기에 아버지는 온갖 희생을 감내하면서까지 내가 초등학교 선생이 되도록 도우셨다.

하지만 나는 초등학교 선생으로 사는 삶에 만족할 수가 없었다. 늘 그 삶이 부담스러워 내려놓고만 싶었고 탈출하고만 싶었다. 나의 삶이 아니라고 생각하니 어색할 수밖에 없었고 불만이 많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아버지 대역이라고 생각했고 아버지를 등에 업고 선생 노릇을 한다고 생각했다. 이른바 ‘아바타의 삶’이었다.

그렇게 교직 정년의 나이까지 이어 왔다. 처음엔 내 몸에 맞지 않는 옷이었지만 오랫동안 입고 살아 보니 어느덧 그 옷이 내 몸에도 맞는다는 생각도 들었다. 타의가 자의가 된 셈이다. 그렇게 교직에서 정년퇴임을 하고 나서 이제 나는 20년 가까이 내가 살고 싶은 삶을 살고 있다. 전업 시인의 삶인 것이다.

이런 나의 경험에 비추어 젊은이들에게 말하고 싶다. 우리가 정말로 살고 싶은 삶은 내가 살고 싶은 삶이다. 그렇지만 그것이 처음부터 가능하지 않으니 일단은 살아야 할 삶을 살고 나서 살고 싶은 삶을 살도록 하면 어떨까? 안 그러면 나의 경우처럼 그 두 가지 삶을 병행해서 살면 어떨까?

참 이것은 어려운 문제이고 중요한 문제다. 누가 강요할 문제도 아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잠시 현명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인생은 의외로 길다. 전반보다는 후반이 중요하다. 전반이 부모님과 함께하는 인생이라면 후반은 오로지 내가 꾸려서 사는 인생이다. 이 시기에 내가 살고 싶은 삶을 사는 것이 좋다.

이 대목에서 젊은이들이 나더러 ‘꼰대’라 말하고 ‘라때’라 흉을 봐도 어쩔 수 없다. 나는 나대로 이렇게 말하고 싶은 것이다. 인생의 전반부 얼마 동안 자기가 살아야 할 인생을 충실히 사는 것은 자기 인생의 배터리를 충분히 채우는 충전과 같은 것이라고.

나태주 시인

서울신문

나태주 시인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