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5월 실업자 39개월 만 최대 폭 증가···취업자는 8만명 ↑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 5월 고용동향

청년층 취업 21년 1월 이후 최대폭 감소

도·소매·건설업 줄고 보건·숙박·음식점업 늘어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이 3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축소됐다. 반면 실업자 수는 39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늘었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91만 5000명으로 1년 전보다 8만 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21년 2월 코로나19 영향에 47만 3000명이 줄어든 뒤로 3년 3개월 만에 최소 폭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17만 3000명 줄면서 2021년 1월 31만 4000명 감소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40대 취업자 수도 전년 동월 대비 11만 4000명 감소했다.

반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26만 5000명 늘며 증가세를 이끌었다. 30대(7만 4000명), 50대(2만 7000명)에서도 취업자가 늘었다.

산업별로 보면 도매 및 소매업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7만 3000명 줄며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외 △사업시설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6만 4000명 △건설업 -4만 7000명 △교육 서비스업 -4만 5000명 △농림어법 -3만 4000명 등 내수 업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줄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 복지 서비스업은 같은 기간 9만 4000명 늘었고 △숙박 및 음식점업 8만 명 △운수 및 창고업 4만 9000명 △제조업 3만 8000명 등은 늘었다.

한편 실업자는 1년 전보다 9만 7000명 증가한 88만 4000명으로 집계됐다. 실업자 수가 10만 명 가까이 늘어난 것은 2021년 2월 20만 1000명 증가한 이래 최대 폭이다.

이날 제17차 일자리 전담반(TF)를 주재한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5월 15~64세 고용률이 처음으로 70%를 기록했으나, 도·소매업, 건설업 고용이 감소하면서 취업자 증가폭이 축소되고 고용 취약 계층의 어려움도 지속되고 있다”며 “관계부처와 함께 취약부문 맞춤형 일자리 지원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조윤진 기자 jo@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