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단골마저 등 돌려”…스타벅스 떠나는 고객들, 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미국의 한 스타벅스 매장.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시는 스타벅스로 돌아올 생각이 없다.”

세계적인 커피 체인점 스타벅스에서 모카커피를 자주 마셨다는 자칭 ‘모카가이’인 앤드루 버클리(50)는 이 음료 가격이 최근 6달러(약 8200원)를 넘어서자 스타벅스를 끊기로 했다. 미국 아이다호주에서 기술직에 종사하는 그는 수십 년 동안 단골이었으며 거의 매일 마시는 벤티 모카가 일상의 소소한 사치였지만 치솟는 가격에 이제는 직접 집에서 내려 마시거나 가격이 저렴한 다른 체인점을 이용한다고 했다.

영원히 불패할 것만 같았던 스타벅스도 고물가의 여파로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으면서 고전하고 있다. 9일(현지시간) 영국 BBC에 따르면 올해 초 스타벅스의 전 세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다. 특히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는 최소 1년 이상 영업한 점포의 매출이 3% 줄었는데 이는 2009년 금융위기 사태와 코로나19 팬데믹을 제외하면 가장 큰 감소 폭이다.

특히 가장 충성도가 높은 고객이라고 할 수 있는 ‘스타벅스 리워드 회원’의 수가 전 분기 대비 4% 줄면서 단골들도 떠나는 분위기가 감지됐다. 실제로 스타벅스 단골이었던 데이비드 화이트(65) 역시 최근 몇 달 동안 스타벅스에서 거의 모든 구매를 중단했으며 때로는 중간에 장바구니에 담긴 총액을 보고 놀랐다고 털어놨다.

가격 이외에 스타벅스의 행보도 타격을 주고 있다. 스타벅스는 지난해 노조를 탄압했다는 의혹을 받았고, 10월 발발한 가자지구 전쟁에서 이스라엘을 지지하고 이스라엘 정부와 군에 자금을 댄다는 주장이 퍼지면서 불매 운동의 직격탄도 맞았다. 이 여파로 중동과 동남아시아에서는 급격한 매출 감소를 겪어 결국 대규모 감원까지 발표했다.

이에 대해 스타벅스는 오해 때문에 불매 운동의 타깃이 됐다고 해명한 바 있다. 랙스먼 내러시먼(57) 스타벅스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콘퍼런스콜에서 최근 매출이 실망스러웠다면서 특히 중동지역에서의 “잘못된 정보”가 매출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메뉴와 매장에서의 더 빠른 서비스, 많은 프로모션으로 고객을 잡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레이철 루게리(54) 스타벅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시간이 조금 걸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류재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