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사진 속 어제와 오늘] 방역 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조보희 기자 = 과거 인류를 괴롭힌 전염병이나 감염병은 불량한 위생 상태나 부실한 의료기술에 기인한 후진국 병으로 치부되곤 했습니다. 그런데 당연하다고 여기던 대면접촉과 일상화됐던 해외여행이 코로나19 팬데믹에 봉쇄당하면서 현대인들은 감염병의 막강한 파괴력을 절감하게 됐습니다. 방역 당국은 감염병 예방과 퇴치를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습니다. 과거부터 이어온 방역 현장 모습을 모아봤습니다.

연합뉴스

인천에서 어린이 머리에 DDT 살충제를 뿌리고 있다. DDT는 이나 빈대 등 해충 박멸에 효과적이었으나 유해성이 밝혀져 1970년대부터 사용이 금지되었다. 1948년 [국사편찬위원회 제공]



연합뉴스

한국전쟁 중 부산에서 어린이들이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로부터 예방 접종을 받고 있다. 국제적십자위원회는 한국전쟁 시작과 동시에 한반도에 파견돼 유엔군과 공산군 간 제네바 협약 준수 감시 활동과 난민 구호 활동을 했다. 1951년 [국제적십자위원회(ICRC) 제공]




연합뉴스

한국전쟁 중 피난민들이 이를 없애려고 DDT를 맞기 위해 서울 서대문구청에 모여있다. 당시에는 위생 불량으로 사람들의 머리에 이가 많았다. 1951년 [임인식 제공]



연합뉴스

전염병을 옮기는 모기와 파리 등 해충을 없애려고 흰 연기를 내뿜으며 시내 곳곳을 달리는 소독차를 사람들이 신기하게 바라보고 있다. 1960년 [국가기록원 제공]



연합뉴스

전북 남원에서 장티푸스 방역반이 주민들에게 예방 접종을 하고 있다. 1961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국립보건원에서 열린 전국 콜레라 방역 대책 회의. 1963년 [국가기록원 제공]



연합뉴스

해군 봉사단이 낙도에서 방역 활동을 하고 있다. 1984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인도와 중국에 집단 발생한 페스트의 국내 전염을 막기 위해 김포공항 국립서울검역소 직원들이 상하이발 비행기 기내를 소독하고 있다. 1994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중국과 홍콩을 중심으로 급속히 번진 '급성 호흡기 증후군'의 확산을 막으려고 중학생들이 손을 소독하고 있다. 2003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보건소에서 예방접종을 맞는 아기들이 울음을 터뜨리고 있다. 2007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방지를 위해 축협 관계자들이 충남 서천 금강하구둑 주변 방역 활동을 하고 있다. 날고 있는 새는 가창오리. 2014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대전의 고등학교 급식실에 칸막이가 등장했다. 2020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엑스포 참가업체 관계자 및 참관객들이 입장에 앞서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로 검사를 하고 있다. 2021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으로 안성시 보건소 관계자들이 자가검사키트를 점검하고 있다. 2022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전국적인 빈대 확산 우려로 인천지하철에서 고온 스팀 방역을 하고 있다. 2023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 이 기사는 연합뉴스가 발행하는 월간 '연합 이매진' 2024년 6월호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job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