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유전 탐사 작전명 ‘대왕고래’, 영일만 시추 기대 반 걱정 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 높은 성공률” 주장에도

연이은 실패 땐 재정 타격

미국 분석업체 신뢰도 의문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지난 3일 발표한 동해 석유 탐사 프로젝트 ‘대왕고래’에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정부 발표대로 성공률이 20%라면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는 기대와, 구체적 자료가 공개되지 않고 시추도 시작하기 전 단계에서 판단하는 건 너무 이르다는 우려가 나온다.

4일 정부와 한국석유공사 등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프로젝트명으로 알려진 대왕고래는 ‘구조’의 명칭이다. 구조는 원유나 천연가스 등 석유가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땅을 말하는데, 국내에서는 ‘홍게’나 ‘방어’ 같은 주로 바다 생물의 이름을 붙였다. 2004년 국내 최초로 천연가스를 생산해 한국에 산유국 지위를 준 동해가스전의 구조 명칭은 ‘고래’였다. 대왕고래는 동해 8광구와 6-1광구 북부에 걸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조의 규모가 거대하다는 의미에서 지구상에 현존하는 가장 큰 동물 ‘흰수염고래’로도 불리는 대왕고래라는 이름을 붙였다.

정부는 대왕고래에서 석유가 나올 확률을 20%로 전망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전날 “올해 말에 시추공을 뚫어야 정확한 수치가 나오겠지만, 축적한 데이터로 우수한 전문가들이 정밀 분석한 결과 20%였다”며 “굉장히 높은 확률”이라고 밝혔다. 유전이 많은 지역에서 20%는 높은 수치는 아니지만, 동해처럼 유전이 없는 지역에서 20%는 상당히 높은 확률로 여겨진다.

다만 20%는 추정치에 불과하다. 정부 계획대로 올해 말 첫 탐사 시추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5곳을 시추하면 한 곳에서 나올 수 있고, 한 곳에서도 안 나올 수 있다. 5곳 시추를 계획했지만, 탐사 시추 결과가 예상과 다르면 더 이상 진행하기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근상 한양대 자원환경공학과 교수는 “심해여서 시추 한 공당 1억달러(약 1300억원)를 이야기하는데, 사실 2~3곳만 실패해도 분위기가 확 바뀔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밀 분석 등을 의뢰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 자문 업체 ‘액트지오’의 낮은 인지도도 우려를 키우는 요인 중 하나다. 정부는 액트지오에 대해 “심해 평가 경험이 풍부한 메이저사 출신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세계 최고 수준 심해 기술평가 전문기업”이라고 설명했다. 액트지오 대표를 지내다 현재는 고문 역할을 담당하는 비토르 아브레우 등은 메이저사 출신은 맞지만, 관련 업계에서 액트지오 자체의 인지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아브레우 고문은 5일 한국을 찾아 정부·석유공사 관계자를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김경학 기자 gomgo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