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당권주자 안 뜨는 친윤, 한동훈 두고 보나···당선 후 흔들기·전략적 제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4월 11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4·10 총선 참패 관련 사퇴 의사를 밝히고 차량에 탑승해 떠나고 있다. 문재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7월 25일로 잠정 결정된 가운데 친윤석열(친윤)계 당권 주자들이 조용한 행보를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세론이 나오는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당 대표에 선출되면 친윤 의원들을 중심으로 ‘제2의 이준석 연판장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친윤계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4일 기자와 통화하면서 전당대회와 관련해 “특별히 준비하는 건 없다”며 “아직까지는 (주변 얘기들을)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친윤 주자인 권영세 의원 역시 뚜렷한 당권행보는 보이지 않고 있다. 두 사람의 조용한 행보는 한 전 위원장, 유승민 전 의원, 나경원·안철수·윤상현 의원 등이 현안과 관련한 논쟁을 벌이는 것과 대조된다. 총선 참패 뒤라는 점에서 친윤 주자로서 적극적으로 입장을 내는 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친윤계 내부에서 한 전 위원장의 당 대표 출마에 부정적인 기류는 여전하다. 한 친윤계 의원은 “선거에서 패배하고 책임 지고 물러났으니 이후 전당대회는 안 나오는 것이 지금까지 관행”이라며 “관행을 무시하고 나오겠다면 막을 방법은 없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한 전 위원장이 대세론을 형성해가는 상황에서 친윤계가 후일을 도모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친윤 주자들은) 한 전 위원장이 나오면 한동훈 대세론으로 선거가 끝나버리는 상황이라 전당대회를 띄울 필요가 없다고 보는 것 같다”며 “대안이 없으니 빨리 선거를 치르고 빨리 내보내자는 분위기도 있다”고 말했다. 과거 이준석·김기현 전 대표가 연판장·의원총회 등 현역 의원들의 압박에 대표직에서 물러난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당내에 친한동훈(친한)계로 부를 만한 세력이 적다는 점도 이같은 전망에 힘을 싣는다.

반면 한 전 위원장이 당 대표가 되면 야당의 공세를 계기로 한 전 위원장과 친윤계가 오히려 결속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앞서 조국혁신당은 지난달 30일 ‘한동훈 전 법무부 장관의 검사·장관 재직 시 비위 의혹 및 자녀 논문대필 등 가족의 비위 의혹 등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한동훈 특검법)’을 발의했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한 전 위원장을) 원내에서 일부러 흔들지는 않을 것”이라며 “한동훈 특검법은 국회의원들 전체를 욕 먹이는 한심한 짓 아닌가”라고 말했다.

친한계도 한 전 위원장이 용산과 각을 세우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친한계 한 관계자는 “한 전 위원장이 대통령과 식사를 거절한 것이 갈라선다는 의미가 아니다”라며 “대통령에 대해 예의를 갖추고 존중하는 마음은 여전하다”라고 강조했다.

전당대회 준비는 내주까지 룰을 정하기로 하는 등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개정특위)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열었다. 여상규 개정특위 위원장은 이날 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지도체제 문제에 대해 5일 회의를 계속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민심 반영을 위해 일반 여론조사를 30% 혹은 50%를 반영하자는 의견이 대부분이라 현행 당원투표 100%는 폐기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특위는 집단지도체제 도입 여부, 당권과 대권분리 규정 존치 여부, 역선택 방지조항 폐지 여부 등을 오는 12일까지 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문광호 기자 moonlit@kyunghyang.com, 조미덥 기자 zorro@kyunghyang.com, 민서영 기자 min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