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AI반도체·양자 핵심 엔진, 6대 디지털 혁신기술 창출
- AI대학원·SW마에스트로 디지털 100만 인재양성 뒷받침
홍진배 IITP 원장이 IITP 10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전하고 있다.[IITP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설립 10주년을 맞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디지털 G3 강국 실현을 이끄는 디지털‧AI 혁신 ‘글로벌 디지털 프론티어’ 도약을 천명했다.
IITP는 4일 서울 더플라자에서 ‘IITP 출범 10주년(ICT R&D 30+)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과기정통부, ICT 대학, 기업, 연구소, 협·단체와 ICT 언론인 등 120여명이 참석,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고진 위원장, 대통령비서실 임종인 사이버특별보좌관, 한국정보방송통신대연합 노준형 회장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IITP는 ICT R&D와 인재양성을 총괄 지원하는 기관으로서 국내 ICT 산업 발전에 기여해 왔다. 특히 유‧무선 통신 기반 구축, AI, 사이버보안 등 미래 핵심 기술 분야에서 성과를 창출하며 우수한 인재 배출과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큰 역할을 해왔다.
우리나라 ICT R&D 역사는 1992년 ICT분야 R&D 전담조직이 설치된 이후 중장기 기술로드맵, 정책개발, 예산확보, 사업기획, 성과관리 등 체계적으로 진화해 왔으며, 지난 30여 년의 R&D 추진을 통하여 세계 최고 광대역통합망(BcN) 구축, UHD‧DMB 세계 최초 상용화, 세계 최초 5G 상용화서비스, AI반도체 등 디지털 강국을 이루는 토대를 마련했다.
홍진배 IITP 원장은 “IITP는 사회와 국민 삶에 실질적 보탬이 되는 우수성과 창출할 수 있도록 디지털·AI 혁신을 이끄는 디지털 Enabler와 Power Station의 역할을 해나겠다”며 “혁신·도전 디지털 R&D의 전면 개편과 국가 디지털 정책의 시작점인 기술개발과 인재양성 추진을 통해 대한민국이 디지털 G3 국가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IITP는 글로벌 경제‧사회‧안보 패러다임을 바꿀 게임체인저로 부상 중인 디지털 기술 분야 ▷AI ▷AI반도체 ▷양자를 핵심 엔진으로 국가대표 R&D 성과 창출을 위해 역량을 결집한다.
AI가 곧 국가경쟁력인 시대, 기존 생성형 AI의 한계를 뛰어 넘는 차세대범용AI(AGI)기술과 경량화·저전력화 기술 등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미국 등 선진국과 산·학이 참여하는 개방형 연구거점 구축을 추진한다.
IITP 10주년 기념식에서 주요 참석자들이 비전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IITP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계 최고 수준의 메모리 반도체 경쟁력을 바탕으로 연산(프로세서)과 저장(메모리) 기능을 통합한 PIM반도체, AI연산에 특화된 NPU, 반도체 성능을 극대화하는 시스템SW까지 AI반도체 초격차 기술력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풀스택(HW+SW+플랫폼) 역량을 강화해 저전력 AI반도체 G1 달성에 핵심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아직 상용화 전 초기 단계인 양자기술 선점을 위해 양자통신, 양자센싱 등 코어역량을 강화하고, 개방형 양자팹을 통한 양자기술 제작 노하우를 확보하여 다가올 ‘양자산업화 시대’를 준비한다.
AI‧디지털 혁신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고급 인재 배출기반을 고도화·다변화하고, 비전공자 대상 최고급‧실무 인재로의 성장 등도 지원할 계획이다.
먼저 AI 등 전략기술 분야 최고 수준 R&D 역량을 갖춘 ‘핵심인재’ 양성을 위해 AI대학원, ITRC, SW마에스트로,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를 집중 지원한다.
홍진배 원장은 “그동안 대한민국이 세계 무대에서 ICT 강국으로 인정받아 왔듯이 앞으로도 AI반도체, 5G·6G, 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경쟁력을 확보하여 디지털 혁신의 미래 중심에 설 수 있도록 디지털 기술과 인재 발전소인 IITP를 잘 이끌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