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공식 출범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공수처 "대통령실 관계자 소환 계획 아직 없다…사실관계 파악 우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계환 3차 소환 가능성…혐의자 축소 경위 파악 주력

뉴스1

공수처 전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과천=뉴스1) 황두현 기자 = '순직 해병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대통령실 관계자 소환 계획 여부는 아직 정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공수처 관계자는 4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대통령실 관계자 소환 계획을 묻는 질문에 "아직 없다"고 대답했다.

이 관계자는 국방부 이종섭 전 장관과 신범철 전 차관의 소환 계획 역시 없다면서 다만 이미 두 차례 조사한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과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의 소환에는 "일정을 조율하지 않고 있다"면서도 "가능성은 다 있다"며 여운을 남겼다.

해병대원 사건에 대한 대통령실의 개입 의혹이 불거지는 가운데 공수처는 사실관계를 파악하는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수사를 다져가겠다는 입장이다.

공수처 관계자는 "사실관계를 다 끌어모으는 상황"이라며 "모든 사실관계를 모은 이후 법리 검토를 해야 하는데 아직 그 단계(법리 검토)는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사라는 게 하다 보면 원하는 내용이 나오지 않을 수 있고 알지 못하는 내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전 단계로 넘어갈 수도 있다"며 "현재 조사 상황 등에 따라 좌우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공수처는 지난해 국방부 조사본부가 해병대 수사단이 경북경찰청에 이첩한 수사보고서를 회수해 재조사하면서 당초 8명으로 특정된 혐의자가 2명으로 축소된 배경을 파악하고 있다.

공수처는 전날 국방부 조사본부 재조사에 관여한 김 모 전 수사단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두 번째 조사한 데 이어 또 다른 관계인을 부를 예정이다. 공수처는 올해 1월 국방부를 압수수색하고 3~4월 국방부 조사본부 태스크포스(TF)를 방문해 출장 면담 형식으로 기초조사를 하기도 했다.

공수처 관계자는 "계속 진행이 되고 있기 때문에 그쪽(조사본부)에 대한 참고인 조사는 계속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ausur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