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거래기업만 6만개”...日 자동차 인증 조작 성장률에도 타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거래기업 5만9193개, 총거래액 369조원

올 1분기 日GDP 감소…다이하쓰 생산 중단 영향

韓 업계 “대규모 리콜 가능…예의 주시”

헤럴드경제

도요타 자동차의 아키오 회장과 미야모토 신지 고객제일추진그룹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3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고개를 숙이고 있다. [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정목희·서재근 기자]도요타를 비롯해 일본의 주요 자동차 업체들이 성능 시험에 부정 행위를 한 사실이 드러났다. 약 6만 개에 달하는 거래기업은 물론이고 일본의 전체 경제 성장에도 타격을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뿐 아니라 해외서도 ‘대규모 리콜’ 가능성이 높아 우리 완성차업체도 이번 사태가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3일 일본 국토교통성은 도요타(7개 차종)를 비롯해 혼다(22개), 마쓰다(5개), 야마하발동기(3개), 스즈키(1개) 등 5개 업체로부터 자동차 성능 시험에 부정행위가 있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이들 업체가 인증 부정을 신고한 모델은 모두 38종이며 누적 차량대수는 513만3500대다. 이 가운데 지금도 생산 중인 차량은 6개 모델이다. 국토교통성은 6개 모델에 대해 출하 정지를 지시했다.

도요타는 현재 생산 중인 코롤라 필더, 코롤라 악시오, 야리스 크로스 3개 모델과 과거에 만든 크라운, 아이시스, 시엔타, 렉서스 RX 4개 모델에서 부정행위가 있었다고 밝혔다.

도요타의 부정행위는 2014년부터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주로 보행자 보호 시험과 관련해 허위 자료를 제출하거나 충돌 시험을 조작하는 방식이었다. 대상 차량은 지난 4월 말까지 170만 대 정도로 집계됐다.

국토교통성은 관련 법률에 따라 4일 혼슈 중부 아이치현 도요타시에 있는 도요타 본사에서 현장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관련기업만 6만개 육박...日 성장률에 타격 전망=닛케이는 이번 부정 사건과 관련해 “품질을 무기로 세계에서 사업을 확대한 일본 차에 동요가 일고 있다”면서 일본의 경제 성장에까지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자동차공업회에 따르면 일본 자동차 산업의 출하액이 전체 제조업에서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 관련 연구개발비는 부품을 포함해 약 30%에 달하며, 두 항목 모두 제조업 중에서 최고 수준이다. 관련 산업 종사자 수는 550만명이 넘는다.

일본 시장조사업체 제국데이터뱅크는 이번에 문제가 된 5개 기업을 포함한 일본 8개 자동차제조업체와 거래하는 기업은 지난달 기준 5만9193개, 총거래액은 41조9970억엔(약 369조4098억원)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도요타만 해도 거래 기업 수가 3만9113개, 거래액 20조7138억엔(약 182조2006억원)에 달해 여파가 클 전망이다.

인증 부정 여파로 자동차업체들의 생산 및 출하 정지 기간이 길어지면 일본의 성장률까지 끌어내릴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올해 1분기(1~3월)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은 전기 대비 0.5%, 연율 기준 2.0% 감소했다. 도요타자동차 계열의 다이하쓰 등이 품질 부정으로 지난 12월 생산이 중단된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발표한 광공업 생산지수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은 1월에 전월대비 15.9% 감소했으며, 2월에는 8.1% 감소하는 등 큰 폭으로 떨어졌다.

니카니시자동차산업리서치의 니카니시 타카키 대표는 이번 출하 정지 영향에 대해 닛케이에 “도요타와 마쓰다의 감산 규모가 2개월간 2만~3만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내외서 ‘대규모 리콜’ 가능성...“시장 영향에 촉각”= 국내 완성차업계도 일본 5개 자동차업체의 인증 조작이 우리 시장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국내 업계에서는 토요타 자회사 뿐만 아니라 본사까지 문제가 확산된 데다 부정행위 대상 차량 규모만 수백 만 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국내외에서 대규모 리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유사 사례가 추가로 드러날 경우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타격도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도요타는 전 세계적으로 ‘믿고 탈 수 있는 자동차를 만드는 회사’라는 이미지를 지켜온 브랜드”라며 “이번 사태는 ‘자기인증제도’의 허점을 이용한 부정행위라는 점에서 브랜드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미 1년 전부터 조사가 진행 중인 만큼 부정행위 대상 차종이 갈수록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조사 결과에 따라 이번 사태의 여파가 미풍으로 그칠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앞서 폭스바겐그룹의 ‘디젤게이트 사태’를 비롯해 일부 글로벌 브랜드에서 부정행위가 적발됐지만, 결과적으로 판매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면서 “그만큼 소비자들도 이러한 이슈에 내성이 생겼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태가 도요타나 렉서스 브랜드 차종의 판매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mokiya@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