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초미세먼지 현재 수준 유지하면 2050년엔 11만 명 조기 사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을 보인 지난 5월 12일 서울 도심

초미세먼지 농도가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2050년에는 초미세먼지에 따른 조기 사망자가 현재보다 3배로 늘어날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포항공대(포스텍) 환경공학부 이형주 교수, 석사과정 김나래 씨 연구팀은 초미세먼지와 고령화 속도를 고려한 2050년 사망자 수를 예측했다고 오늘(4일) 밝혔습니다.

미세먼지보다 크기가 작은 지름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몸속 깊숙하게 침투해 여러 질병을 유발합니다.

고령층이 초미세먼지에 더 취약하다고 알려져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한국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구팀이 조사한 결과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약 20㎛/㎥로 환경부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보다 높고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수준인 5㎛/㎥를 한참 웃돕니다.

연구팀은 인구주택총조사와 장래인구추계 데이터를 통해 2020년에 16%인 고령층 인구가 2050년에는 40%로 증가할 것이란 결과를 얻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사망자 수를 예측하는 시나리오를 설계했습니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최근 3년 평균 수준인 20㎛/㎥를 유지할 경우 2050년 초미세먼지에 따른 조기 사망자가 약 11만 명에 이를 것이란 예측치가 나왔습니다.

이는 2020년 조기 사망자 수인 3만 4천 명의 약 3배에 이르는 수치입니다.

환경부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로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더라도 2050년 사망자는 약 8만 4천 명에 이른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연구팀은 2050년 사망자 수를 2020년 수준과 같게 하려면 초미세먼지 농도를 6㎛/㎥까지 줄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습니다.

초미세먼지 농도를 현재 정책보다 훨씬 더 많이 줄여야 사망자와 공중 보건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환경 분야 국제 학술지인 '환경 연구'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