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2050년 초미세먼지로 인한 조기사망 11만명… 공중보건 위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2020~2050년 초미세먼지 농도별 조기사망자 예측 그래프. 포스텍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초미세먼지 농도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면 급속한 고령화에 더해져 2050년 초미세먼지로 인한 조기 사망 인구가 현재에 3배에 달한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초미세먼지 농도를 현재 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여햐 한다는 주장도 더해졌다.

최근 환경분야 국제학술지인 ‘환경 연구(Environmental Research)’ 는 최근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 이형주 교수·석사과정 김나래씨 연구팀의 이같은 연구결과를 온라인에 게재했다.

지름이 2.5µm(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초미세먼지는 몸속 깊숙이 침투해 여러 질병을 유발한다. 특히 65세 이상의 고령층이 이에 더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이 계산한 결과 2019~2021년까지 우리나라 평균 초미세먼지는 농도는 약 20µg/m³다. 이는 환경부의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µg/m³보다도 높고,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수준인 5µg/m³의 4배에 달하는 수치다.

또 연구팀이 인구주택총조사와 장래인구추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산한 결과 2020년 16%에 불과했던 고령층 인구는 2050년에는 40%로 증가했다.

이같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초미세먼지로 사망하는 인구를 예측하는 시나리오를 설계해 분석해보니 초미세먼지를 최근 3년간 평균 수준인 20µg/m³로 유지하면 2050년 사망자는 약 11만명에 이른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2020년 초미세먼지로 인한 사망자 3만4000명의 3배에 해당한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환경부의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µg/m³로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춰도 2050년 사망자는 약 8만4000명에 이른다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2050년 초미세먼지로 인한 조기사망자 수를 2020년 수준으로 줄이려면 초미세먼지 농도를 6µg/m³까지 줄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체 인구는 감소하지만 초미세먼지에 취약한 고령층 비율이 급속도로 늘어나는 만큼 초미세먼지 농도를 줄여야 공중 보건과 관련한 부담도 경감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이 교수는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건강 취약계층이 증가하면서 초미세먼지로 인한 공중 보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며 초미세먼지 감축이 단기간에 이루어지긴 어렵지만 지금보다 훨씬 강화된 미세먼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 한국연구재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포항 김상현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