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선거와 투표

與 "108명 똘똘 뭉치자" 결의…"선거 안해 본 한동훈 때문" 비판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충남 천안서 당선인 워크숍 열고 "뭉치는 당" 강조

인명진, 이해찬에 "살았는지 죽었는지 모르겠더라"

뉴스1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 등 의원들이 30일 오후 충남 천안 재능교육연수원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2대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4.5.30/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천안=뉴스1) 이밝음 한상희 이비슬 신윤하 기자 = 192석 거야를 상대로 향후 4년간 험로가 예상되는 국민의힘 의원 108명은 22대 국회 개원 첫날인 30일 "똘똘 뭉치자"며 단합 의지를 다졌다.

국민의힘은 이날 충남 천안시 소재의 한 연수원에서 '22대 국민의힘 국회의원 워크숍'을 개최했다.

워크숍에 참석한 의원들은 본행사 시작 전 삼삼오오 모여 함께 점심식사를 하고 안부 인사를 전했다.

추경호 원내대표가 개회사를 한 뒤 "똘똘"을 선창하자 나머지 의원들은 "뭉치자"를 삼창했다.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도 "21대 선배들이 마지막 본회의장에서 보여준 그 단결은 놀라운 거다. 그걸 보면서 가슴이 먹먹해지는 걸 느꼈다"며 "우리가 이어받아서 굳건히 뭉치는 당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날 워크숍에선 당원 정신교육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성일종 사무총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를 언급하면서 "있지도 않은 일을 만들어내면서 굿을 했느니 비아그라를 왜 샀느니 흉측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는 유언비어를 많이 생성했다"며 "당원들이 가져야 하는 정신적 측면에서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강연에서는 당을 향항 쓴소리를 비롯해 다양한 제언이 나왔다.

첫 강연자로 나선 김명주 서울여대 교수는 '인공지능 기술과 규제 트렌드'를 소개했다. 안철수·이인선·고동진·유용원 의원 등이 관심 있게 강연을 들었다.

두번째 강연자인 인명진 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선거가 코앞인데 대표를 바꾸고 비대위를 세웠다. 선거 때는 선거 경험이 있는 사람이 비대위에 들어가서 일해야 했다"며 "이런 상황 속에서 선거에 이길 수 있었다고 생각하면 정치무뇌아"라고 비판했다.

한동훈 전 위원장을 언급하며 "우리 당은 구의원 선거도 한번 안 해본 사람이 선거를 치른다는데 (더불어민주당은) 백전노장 옆에 김부겸·이해찬이 앉아있다"고 하자 전직 지도부를 비롯한 의원들의 표정이 굳어지기도 했다.

인 전 위원장은 이해찬 민주당 상임고문에 대해 "조는지 눈을 뜨고 있는지 제가 보기엔 살았는지 죽었는지 모르는 모습으로 앉아있더라"며 "더 가관인 건 파란색 당 선거운동 점퍼가 맞지도 않더라. 그거나 맞춰서 입히지"라고도 말했다.

인 전 위원장이 "절대 이 땅에 탄핵이 있어선 안 된다"고 말하자 의원들은 고개를 끄덕이며 박수를 쳤다.

5선 권영세 의원은 강연에서 2004년 고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당시를 언급하며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 우리가 처한 위기는 그보다 덜하다고 생각한다"며 "위기 때마다 우리가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개개인의 사정을 다 묻어두고 당을 위해서 협력하고 단합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친윤 친한, 전엔 친이 친박 별 얘기가 다 나오는데 그런 식의 구분을 철저하게 지양해야 된다"며 "의원 하나하나가 헌법기관이면서 오야봉·꼬봉처럼 따라다니는 모습은 좋지 않다"고 했다.

나경원 의원도 발언 기회를 요청해 "서울시장 선거 당시 20% 차이로 시작했다가 3% 차이로 붙었는데, 1억 피부과 이야기를 하더라"며 "당이 하나가 됐어야 하는데 일부 세력은 서울시장 선거에서 져야 다음 총선과 대선에서 유리하다고 판단해서 우리 당이 하나가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강연이 끝난 뒤 의원들은 "국민의힘 함께"를 외치며 단체사진을 촬영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30일까지 1박2일 일정으로 워크숍에 참석한다. 30일엔 결의문을 채택하고 22대 국회에서 당론으로 발의할 '1호 법안'도 발표할 예정이다.

bright@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