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中, 美견제 맞서 반도체 육성 총력…사상 최대 64조원 기금조성(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재정부·국유은행·지방정부 등 3차 펀드에 투자…사실상 정부가 직접 운영할듯

연합뉴스

중국 반도체 (PG)
[구일모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주종국 홍제성 기자 = 중국이 반도체 굴기의 일환으로 3천440억위안(약 64조6천720억원) 규모의 사상 최대 반도체 투자기금을 조성했다.

27일(현지시간) 중국 기업정보 사이트 톈옌차에 따르면 중국 반도체산업 육성 펀드인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기금은 중앙 정부와 중국 공상은행을 포함한 국영은행, 기업 등으로부터 이 규모의 자금을 모금, 3차 펀드를 지난 24일 조성했다.

이 펀드는 중국과 무역 갈등을 빚고 있는 미국이 수출통제 조치 등을 통해 중국 반도체 산업 견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3차 펀드의 최대 주주는 중국 재정부로 전체 지분의 17.4%를 차지한다.

중국공상은행, 교통은행, 중국은행 등 6대 주요 국유은행들을 비롯해 선전과 베이징 등 지방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투자회사들도 출연했다.

선전시는 수년간 미국의 반도체 수출 제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웨이 테크놀로지스를 구제하기 위해 남부 광둥성의 여러 반도체 제조공장에 자금을 지원해 왔다.

기금은 장신(張新)을 대표로 둔 별도 법인이 운영하지만, 중국 정부와 국유은행과 국유 투자회사들이 대거 출연한 것이어서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가 사실상 직접 운영하는 기금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미국과 유럽 등 서방 국가들은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810억 달러(약 110조5천억원)가량을 투자하면서 반도체 패권을 놓고 중국과 경쟁하고 있다.

중국도 지난 10년 동안 SMIC를 비롯한 중국 내 반도체 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국가 자본을 많이 투입하며 대응해왔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15년 하이테크 산업 육성책 '중국제조 2025'를 발표하면서 반도체 산업 육성 펀드를 조성했다.

1차 펀드 조성액은 약 1천400억위안(약 26조3천억원), 2019년에 조성된 2차 펀드는 2천억 위안(약 37조6천억원) 규모였다.

특히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인 2018년부터 중국과 무역전쟁을 시작, 반도체 등 중국 하이테크 기업을 제재하고 높은 관세를 부과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 역시 2021년 취임 후 한 발 더 나아가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금지 등의 조처를 강화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사상 최대 규모인 3차 펀드를 조성한 것은 미국 등 서방이 첨단기술의 대중 수출 통제 등으로 중국의 발전을 막더라도 과학기술 자립자강과 인재 육성 등을 통해 이를 돌파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해석된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한국과 네덜란드, 독일, 일본을 포함한 동맹국들에 중국의 반도체 접근 제한을 더욱 강화하도록 촉구하자 반도체 자체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중국 정부가 이에 맞서 3차 펀드를 조성했다고 보도했다.

미국과 한국, 일본 등 각국이 앞다퉈 자국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책을 내놓는 가운데, 중국도 이에 가세하면서 첨단 반도체를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도 한층 가열될 것으로 전망된다.

펀드 조성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 주요 반도체 업체들의 주가가 급등했다. 중국 최대 반도체 제조사인 SMIC는 27일 홍콩 증시에서 5.4% 상승했고 화홍반도체도 6% 이상 올랐다.

satw@yna.co.kr

js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