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진주 원당고분군, 가야 최대급 횡혈식 석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축조 세력은 대가야, 백제 등과 정치적 교섭을 했던 중요 세력

더팩트

조규일 진주시장(왼쪽 두번째)이 일반성면 운천리 일원 ‘진주 원당고분군(M2호분) 시굴 및 발굴조사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진주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진주=이경구 기자] 경남 진주시 일반성면 운천리 일원의 ‘진주 원당고분군(M2호분)이 가야 최대급의 횡혈식 석실로 가야 말기의 진주지역 정세를 파악하는 중요 자료로 주목 받고 있다.

진주시는 27일 일반성면 운천리 일원의 ‘진주 원당고분군(M2호분) 시굴 및 발굴조사’가 완료돼 현장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발굴조사는 경남도와 진주시의 가야문화재 조사연구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지난해 시굴조사에서 조사된 가야 고분 중 최대 크기로 길이 290㎝, 너비 208㎝, 두께 30㎝의 개석이 발견돼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봉토부 트렌치 조사를 통해 토제(흙둑) 축조방식 등 아라가야 왕릉인 함안 말이산고분군 봉토분과 유사한 축조기술을 일부 확인했다. 또한 봉토 기저부에 두꺼운 토대를 조성하고 지정목을 박아 정지하는 등 다양한 축조기술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진주 원당고분군만의 독자성과 다양한 축조 기술적 교류를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매장주체부는 중앙 연도식의 횡혈식 석실로 2차례 이상의 추가장 흔적이 확인됐다. 출토유물 중 토기는 6세기 중엽 가야 말기 형식으로 복합적인 양상을 보였다.

금속기류는 대가야 세력권을 나타내는 축소모형철기, 백제 사비기 양식으로 추정되는 대장식구를 비롯한 철제 관고리, 관정 등이 출토돼 축조 세력은 대가야, 백제 등과 정치적 교섭을 했던 중요 세력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발굴을 진행한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개석까지 비교적 완전한 상태로 발견된 진주 원당고분군 M2호분은 가야 최대급의 횡혈식 석실로 가야 말기의 진주지역 정세를 파악하는 중요 자료다"며 "추가적인 조사로 고분의 축조방법과 추가장 형태를 비롯한 상장의례를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고 했다.

조규일 진주시장은 "진주 원당고분군이 지닌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지역 주민과 함께 공유하며 알리도록 노력하겠다"며 "6세기 가야지역의 횡혈식 석실 연구에 있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것을 기대하며 추가 발굴을 추진할 수 있도록 국비 신청 등 예산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hcmedia@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