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삼부토건,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현지 회동…"건설·태양광·스마트팜 구축 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삼부토건 CI.


(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삼부토건 관계자들이 우크라이나 현지 대통령실을 방문해 정부 관계자들과 전후 재건 관련 사항들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회동은 우크라이나 대사 출신의 이양구 '한-우크라이나 뉴빌딩 협회' 회장을 통해 주선됐다.

27일 삼부토건에 따르면 삼부토건측은 이응근 삼부토건 전 대표 등이 참석했고 우크라이나 측에서는 대통령실 관계자들과 농업식품부, 상공회의소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삼부토건은 스마트팜을 포함하는 스마트빌리지와 SOC 인프라 구축, 태양광을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난민시설 구축 방안, 그리고 비옥한 토양을 활용한 현지 밸류체인 구축 등을 제안했다.

우크라이나는 유럽에서 러시아를 제외하고 두 번째로 큰 영토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 3대 농업 국가다. 삼부토건측은 "농업과 같은 1차 산업과 가공 및 유통 등 3차 산업을 연결하는 밸류체인 구축을 통해 친환경 소득과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상황"이라며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우크라이나를 유럽 농산물 유통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성장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피력했다.

삼부토건 관계자는 "전후 스마트팜 프로젝트와 연계해 우크라이나 현지 인프라 사업에 참여하고 샌드위치 패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난민 주거 시설 건설 공사 참여 등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우리 기업들의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사업을 지원하고 있는 '한-우크라이나 뉴빌딩 협회' 이양구 회장은 우크라이나 대사를 역임한 유라시아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이 회장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이 길어지며 국지전 분쟁으로 바뀌면서 조만간 종전에 이르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일상은 회복될 것이고 이에따라 전후 복구 역시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는 세계 3대 농업국이자 글로벌 상위 10위 자원부국으로 상당한 포텐셜을 가진 나라다. 특히, 전후 복구와 재건에 드는 비용은 약 9000억 달러, 한화 1200조 원이 넘는 규모로 우리 기업에 다양한 기회가 제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부토건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측 인사들은 우리가 한국 전쟁의 상실감을 극복하고 전후복구에 성공했다는 것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며 ""SOC 인프라부터 스마트 빌리지, 스마트팜, 태양광 에너지 설비, 의료 및 교육 등을 포함하는 패키지 재건 프로젝트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고 밝혔다.

삼부토건은 올해 2분기 이내에 우크라이나 추가 방문을 통해 현지 피해 상황을 확인하고 난민 주거 시설 등 현지에서 급히 필요한 것들부터 우선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회사 측은 연내 우크라이나-러시아 종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재건복구 사업팀을 구성할 계획이다.

joyonghu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