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나경원, 野 연금개혁안 수용…"尹 임기단축 개헌 열어놔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尹과 앙금 풀렸나' 질문에 "100% 말씀은 못드리지만"

"김여사 문제 사과 빨랐으면…오세훈은 마음 급한 모양"

뉴스1

나경원 국민의힘 당선인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토론에서 기조발언을 하고 있다. 2024.5.2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밝음 기자 = 나경원 국민의힘 당선인은 27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제안한 연금개혁안에 대해 "처음엔 굉장히 부정적이었는데 첫 단추라도 끼워야 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며 긍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나 당선인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편집인 토론에서 "이 대표가 여러 제안을 했다면 우리가 모수개혁이라도 진행하는 게 맞지 않나 생각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앞서 이 대표는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 여당안을 수용하겠다며 21대 국회 처리를 제안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22대 국회에서 구조개혁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며 반대하고 있다.

나 당선인은 "구조개혁이 너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현재(보험료율 9%)로는 하루에 800억 원 정도씩 손실이 나는 걸로 안다. 일단 (보험료를) 많이 내는 부분이라도 합의해보는 건 어떤가 생각해봤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에선 대통령실과 관계, 총선 참패 책임론,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 오세훈 서울시장의 중진 비판, 개헌 등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오갔다.

나 당선인은 과거 초선 연판장 사건 이후 윤석열 대통령과 앙금이 풀렸냐는 물음에 웃으면서 "제가 부처님 반토막도 아니니까 100% 어떻다 말씀은 못 드리겠다"며 "대의보다 소의가 중요하다고 늘 생각하기 때문에 큰 틀에선 연판장을 주도했던 분들과도 마음을 교감하는 것처럼 대통령과 관계도 그렇게 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답했다.

당정 관계에 대해선 "밖으로 시원하게 이야기하고 갈등을 그대로 노정시키는 게 당대표 인기엔 도움 될지 모르겠지만 그게 과연 정답인가"라며 "정부 인기가 어느 정도 유지돼야 재집권이 훨씬 유리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나 당선인은 총선 참패 책임을 묻는 말엔 "누구 책임이 크냐에 대해선 벌써 공유하는 바가 있고 한 전 위원장의 책임이 있느냐로 많이 논쟁하는 것 같은데, 한 위원장이 와서 고생을 많이 했다"고 말했다. 다만 나 당선인은 토론 후 기자들과 만나 총선 백서와 관련해 "너무 특정인의 책임을 묻는 총선 백서도 문제겠지만 특정인은 무조건 책임이 없다고 하는 총선 백서도 문제일 것"이라고 했다.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과 관련해 진솔한 해명이 있었다고 보냐는 질문엔 "시점이 늦어지면 설명을 아무리 해도 해결이 안 되는 부분이 있다"며 "그런 면에서 김 여사 관련된 건 최근 대통령께서 사과 수준의 답변을 한 걸로 안다. 조금 더 빨리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나 당선인은 채상병 특검법 재표결에서 예상되는 여당 이탈표에 대해 "4명 정도 공식적으로 (찬성 의사를) 밝힌 걸로 알고 추가 이탈표는 크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며 "야당의 정치공세 일환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특검을 받기 어렵다는 입장은 달라진 바가 없다"고 했다.

오 시장이 해외 직접구매(직구) 금지 논란과 관련해 여당 중진의 처신이 아쉽다고 지적한 것에 대해선 "오 시장이 마음이 급해지셨나 생각했다"며 "정책토론이 될 수 있었는데 감정적 옥신각신으로 바뀌어버렸다. 그래서 참 안 좋은 모습"이라고 받아쳤다.

나 당선인은 일각에서 거론되는 현 대통령의 임기 1년 단축을 포함한 개헌 논의에 대해 "모든 것을 열어놓고 논의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의원내각제적 요소가 상당히 도입되는 게 앞으로 대한민국 정치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권 도전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지금이야 대권에 대한 생각은 그다지 없다"면서도 "언제나 생각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정도만 말씀드리겠다"고 여운을 남겼다.

bright@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