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여성 소득 2배 늘면 자녀 수 4% 감소…"육아휴직 보장 시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여성 경제활동·출산 '마이너스' 관계…남성은 '플러스'

뉴스1

7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개막한 '제39회 대구베이비&키즈페어(대구베키)'의 부대행사로 열린 생후 12개월 이하 아기들의 경주 '컴 온 베이비(come on baby)' 이벤트에 출전한 아기들이 아빠·엄마의 손짓을 바라보며 결승선을 향해 다가가고 있다. 2024.3.7/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김유승 기자 = 현실에서 육아휴직 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여성의 경력 지속이 어려워 여성의 경제활동과 출산이 상충 관계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7일 통계개발원에 따르면 지난달 개발원이 발표한 '경제 사회적 요인에 따른 출산 격차 연구' 보고서는 여성이 취업하거나 맞벌이인 가구가 그렇지 않은 가구보다 자녀 수가 적었다는 분석 결과를 담고 있다.

우한수·심수진 통계개발원 사무관은 최근 20년(2003~2023년)간 25~44세 배우자가 있는 가구의 소득과 경제활동 상태 등과 출산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작년 기준 맞벌이 가구 자녀 수는 1.36명으로 비맞벌이 가구(1.46명)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 상위 20%인 5분위에서 맞벌이(1.43명)와 비맞벌이(1.75명) 간 자녀 수 격차가 0.32명으로 컸다.

여성의 경제 활동 여부로 살펴보면 여성 취업 가구의 자녀 수는 1.34명으로 여성 비취업 가구(1.48명)보다 0.27명 적었다. 소득 5분위에선 차이가 0.34명까지 벌어졌다.

연구진 분석 결과 지난해 여성 소득 계수는 -0.04로 자녀 수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여성 소득이 100% 증가할 때 자녀 수는 4%가량 감소한다는 의미다. 남성 소득이 자녀 수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과 비교된다.

연구진은 "제도적으로 보장된 여러 출산 지원 정책이 일부 공공기관, 대기업 중심으로 진행되고, 중소기업 단위에서는 그 실효성을 보장하기 힘들다는 여러 지적이 있다"며 "이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대책이 시급히 진행돼야 한다"고 했다.

이어 "또한 여성의 자녀 출산을 위해 경력단절이 아닌 육아휴직 제도 등을 통한 경력의 연속성이 보장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ky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