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세계 정상들 이모저모

이재용만 따로 만난 중국 리창 총리...19년 만에 한국서 재회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해외 기업 투자 유치하는 리 총리,
삼성 주요 글로벌 기업으로 중시
이재용 회장, 中 고위급 인사와 네트워크 다져
한국일보

이재용(왼쪽) 삼성전자 회장과 리창 중국 총리가 26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면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한중일 정상회담 참석차 방한한 '중국 서열 2위'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면담했다고 삼성전자가 26일 밝혔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회장을 비롯한 삼성 경영진과 리 총리 일행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40분 동안 만났다. 리 총리가 이번 방한 기간 따로 만난 국내 기업은 삼성전자가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 총리는 2005년 시진핑 당시 저장성 서기가 한국에 왔을 때 비서장 직책으로 삼성전자 경기 수원·기흥 사업장을 방문한 적이 있는데 이번 방한으로 이 회장과 19년 만에 한국에서 재회했다.

한국일보

이재용(왼쪽 네 번째)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과 리창(오른쪽 두 번째) 중국 총리 일행이 26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면담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측에서는 △우정룽 국무원 비서장 △진좡룽 공신부장 △왕원타오 상무부장 △쑨예리 문화관광부장 △마자오쉬 외교부 부부장 등이 참석했다. 삼성 경영진은 △전영현 삼성전자 DS부문장 부회장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 모바일사업부장 사장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 사장 △최윤호 삼성SDI 사장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등 주요 계열사 경영진이 총출동했다.

이 회장은 리 총리를 만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절을 떠올리며 "삼성과 삼성의 협력사들이 위기를 극복하도록 도와주신 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기간에 삼성전자의 중국 출장 직원을 위한 전세기 운항을 허가하고 시안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의 생산 중단 방지와 상하이 삼성SDI 배터리 핵심 협력사 조기 가동을 지원하는 등 사업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협력했다.

해외 경제인 만나며 투자 유치하는 리 총리

한국일보

리창 중국 총리가 26일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 도착해 취재진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성남=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리창 총리는 최근 자국 내 해외 자본의 유출(차이나 런)을 막기 위해 해외 기업 대표들과 적극 만나고 있다. 리 총리는 특히 중국 경제를 책임지는 얼굴 역할로 1월 스위스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EF) 연설에 나섰으며 중국 정책 당국자와 해외 기업가 사이의 소통 창구로 매년 3월 개최된 중국발전포럼(CDF)에서도 해외 기업의 투자를 보호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방한에서 특히 이 회장을 만난 것은 중국이 삼성을 자국에 투자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중요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읽힌다. 재계 관계자는 "윤석열 정부 들어 중국과 경제 교류가 활발하지 못했고 국내 기업인들도 중국 고위급 관계자는 중국에 가서야 만날 수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오늘 국내에서 리 총리가 이 회장을 만난 데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앞서 리 총리는 3,000여 개 외자 기업이 참여하는 수입제품 전시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가 2018년 처음 열린 후 해마다 삼성전자 부스를 찾았다. 지난해 그는 "삼성은 이미 훌륭한 기업이지만 중국에 왔기 때문에 더욱 잘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삼성 측은 전했다.

중국에 공들인 삼성, 시장 돌파구 찾을까

한국일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해 3월 중국 톈진의 삼성전기 사업장을 방문해 MLCC 생산 공장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 역시 중국에 공을 들이고 있다. 중국사회과학원이 발표하는 중국 외자기업 사회적책임(CSR) 평가 순위에서 2013년부터 11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 회장 개인적으로도 꾸준히 중국을 찾고 있다. 가장 최근엔 지난해 3월 CDF에 참석해 중국 고위급 인사들과 네트워크를 다지고 톈진 삼성전기 사업장을 방문하면서 시 주석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천민얼 톈진시 서기와 면담했다. 2020년엔 코로나19 확산 속에서도 시안에 있는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장을 살폈다.

중국 시장은 삼성전자의 낸드플래시 메모리, 삼성전기의 스마트폰 부품 등의 주요 고객일 뿐 아니라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소비시장으로서 삼성 입장에서 포기할 수 없는 영역이다. 재계 관계자는 "특히 반도체 분야에서 돌파구가 필요한 삼성전자 입장에선 이번 면담이 전환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