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없을수록 ‘먹고’ 살기 더 힘드네…저소득층 ‘식비 지출 비중’ 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식재료값·외식비 상승 영향

전체 소비 중 31% 넘게 지출

고소득층은 오히려 비중 줄어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가공식품 소비, 2년 새 큰 폭 늘어…“식단 질 저하 우려”

저소득층 가구의 소비에서 식료품·비주류와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2019년 가계 동향 조사 개편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는 식료품·비주류 음료 구매에 월평균 26만9000원을 썼다. 외식비(14만1000원)까지 고려하면 전체 소비 지출(131만1000원)에서 약 31.2%를 총 식비 지출에 할당했다. 가계 지출의 3분의 1가량을 식비에 썼다는 뜻이다.

2019년 1분기까지만 하더라도 전체 소비에서 먹는 데 쓰는 비용은 27.9%였다. 이후 해마다 늘어 2022년에는 30.8%까지 올랐다.

지난해 29.6%로 주춤했던 식비 비중은 올해 들어 다시 커졌다. 최근 물가 상승으로 식자재 가격이 높아진 데다 외식 물가가 전반적으로 올라간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전체 가구의 평균 식료품·비주류와 외식비 비중은 같은 기간 27.9%였다. 지난해(26.9%) 대비 올랐지만 2022년(27.9%)과 같았다. 소득 상위 20%(5분위) 가구의 식료품·비주류와 외식비 비중은 24.9%로 2022년(25.7%)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최근 ‘밥상’ 물가 상승으로 저소득층 가구가 먹거리 측면에서는 다른 계층보다 더 취약해졌다는 뜻이다.

가계 소비 지출 대비 식료품·비주류 비율을 뜻하는 엥겔지수만 놓고 보면 예년에 비해 높지 않은 수준이다. 올해 1분기 소득 1분위 가구 엥겔지수는 20.5로, 지난해(19.0)보다 뛰었지만, 2021년(21.6)이나 2022년(21.7)보다 낮다. 생계유지와 직접 연관된 식료품 지출은 다른 품목에 비해 줄이기 어려우므로 저소득층일수록 엥겔지수가 높다.

그러나 엥겔지수에는 외식 비용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함정’이 있다. 저소득층 가구의 엥겔지수가 예년에 비해 낮은 데는 식료품 등 직접 음식을 만드는 데 들어간 비용만 반영됐기 때문이다. 일반 식당·배달 음식 등에 쓴 외식비도 포함할 경우, 1분위 가구 식비 지출 비중은 전체 소득 계층 중 가장 높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김밥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7%, 냉면 가격은 7.0% 각각 올랐다.

올해 고물가에도 저소득층의 엥겔지수가 내려간 데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가공식품 소비가 늘어난 점도 크게 작용했다.

세부품목을 보면, 2년 전보다 육류(-3.0%), 신선수산(-2.1%), 유제품·알(-4.3%) 등 신선식품 지출은 감소했다. 반면 육류 가공품(37.7%), 기타 수산동물가공품(30.1%) 등 가공식품에서는 소비가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는 1년 전보다 1.6% 상승한 데 비해 신선식품인 농축수산물은 10.6% 올랐다. 저소득층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가공식품에서 소비를 늘리면서 밥상 물가 부담을 소폭 낮춘 것이다.

고물가로 식탁에 올라온 식료품 개수 자체도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1분위 가구 월평균 과일·과일가공품 구매액은 1년 전보다 23.2% 늘었지만,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실질 소비금액은 8.4% 감소했다.

우석진 명지대 교수는 “과일이 비싸면 통조림 과일 소비가 늘어나는 것처럼 물가가 장기간 고공행진을 이어간다면, 저소득층 식단의 질이 전반적으로 떨어질 우려가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박상영 기자 sypark@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