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털 빠진' 푸바오 충격적인 근황 공개···"몰래 '접객' 시켰나" 의혹 일파만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중국판다보호연구센터가 최근 영상이라며 푸바오의 모습을 공개한 가운데 해당 영상에 "불법 촬영에 대해 철저히 조사해달라"는 댓글이 이어지고 있다.

센터는 25일 공식 웨이보(微博·중국판 엑스)를 통해 1분 33초가량의 영상을 올린 뒤 "푸바오가 창을 통해 이웃 판다들과 소통하며 사육사들의 면밀한 관찰도 가능하게 하는 등 점점 상황에 적응해나가고 있다"며 "대중과 만날 날도 가까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영상에는 "'도둑 촬영'에 대해 철저히 조사해 조속히 결과를 알려달라", "지금 상황에 대해 대응해달라", "바로 해결하지 않으면 점점 심해질 것", "소문에 대한 설명이 더 필요할 거 같다" 등의 댓글이 쏟아지고 있다.

최근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푸바오로 추정되는 판다를 가까이서 촬영한 사진이 잇따라 올라왔다. 뿐만 아니라 이 판다의 여러 사진이 담긴 휴대전화 화면도 공개됐는데, 누군가 손을 뻗어 만지거나 먹이를 주는 듯한 장면이 담겼다.

지저분한 시멘트 바닥과 먹이 조각도 찍혔다. 문제의 사진 속 판다에게는 탈모와 목 부분 눌린 자국이 발견됐는데 이번에 센터가 공개한 영상 속 푸바오도 같은 모습이다.

한편 푸바오가 중국에서 '비공개' 접객에 이용되고 있다는 정황도 포착됐다. 실제로 중국 선수핑 기지에서 ‘판다 먹이주기 체험’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것이 확인돼 의혹은 점점 더 확산하는 모습이다.

판다는 감염에 취약한 동물로 한국에서는 사육사들이 푸바오를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접촉했다.

이에 대해 중국 네티즌들은 “푸바오가 특별한 소수에게만 ‘접객’을 하고 있는 것 아니냐”, “푸바오에게 넓은 정원을 제공한다더니 웬 지저분한 시멘트 바닥이냐”, “한 달 이상 격리·검역 과정을 거친 이유가 무엇이냐”라며 분노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에 중국판다보호연구센터 측은 해당 사진이 몰래 촬영된 것이라며 경찰에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의혹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다.

푸바오는 2016년 3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중 친선 도모의 상징으로 보내온 판다 러바오와 아이바오 사이에서 2020년 7월 태어났다.

그간 용인 에버랜드에서 생활하면서 ‘용인 푸씨’, ‘푸공주’, ‘푸뚠뚠’ 등으로 불리며 많은 사랑을 받은 푸바오는 지난달 3일 중국으로 돌아갔다.

김경훈 기자 styxx@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