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물가와 GDP

고물가·고금리에 중산층 가구도 휘청…5집중 1집은 '적자 살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분위 적자 가구 비율 2.2%p 늘어 18.2%…3분위도 17.1%

고소득층인 5분위도 적자 가구 비율 증가…근로소득 감소 영향

연합뉴스

고물가에 쪼그라든 가계…가구 실질소득 7년 만에 최대 감소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올해 1분기 가구 실질소득이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명목소득 증가세에도 물가가 더 큰 폭으로 오른 결과다. 올해 초 대기업 상여금 감소 영향으로 실질 근로소득이 2006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줄며 가구 소득 감소세를 견인했다. 사진은 23일 오후 서울 명동 거리. 2024.5.23 jieunlee@yna.co.kr


(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 = 올해 1분기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가량은 번 돈보다 쓴 돈이 많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고금리와 근로소득 감소가 맞물리면서 고소득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증가했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였다.

1년 전(26.7%)과 비교하면 0.1%포인트(p) 소폭 증가했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 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이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년 전보다 2.2%p 증가해 18.2%가 됐다. 직전 분기인 4분기(14.8%)와 비교하면 3.4%p 늘었다.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7.1%로 나타났다.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까이가 소비 여력보다 더 많은 돈을 쓰는 '적자 살림'을 했다는 의미다.

소득 상위 20% 이상인 5분위 가구 역시 적자 가구 비율이 1년 전보다 0.5%p 증가한 9.4%를 기록했다.

2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도 1년 전보다 0.9%p 증가한 28.9%였다.

반면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2.0%p 감소해 60.3%로 개선됐다.

연합뉴스

고물가에 쪼그라든 가계…가구 실질소득 7년 만에 최대 감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중산층·고소득층 가구 '적자 살림 증가'의 배경에는 고금리·고물가의 장기화와 부진한 소득 증가가 있다.

높은 물가와 금리가 계속되면서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은 증가했지만, 소득이 이를 상쇄할 만큼 늘지 못하면서 적자가 확대된 것이다.

1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은 1년 전보다 6만8천원(1.4%) 늘었지만, 가계지출은 9만9천원(2.5%) 증가했다. 이자 비용도 1만4천원(11.2%) 늘었다.

특히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3만5천원(1.1%) 줄며 '역성장'했다. 이에 따라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살림살이가 더 큰 타격을 입었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1분기 3분위·4분위 가구의 지출은 각각 5.9%, 4.5% 늘었지만, 소득은 각각 5.4%, 2.7%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근로소득의 증가율은 3분위가 3.8%, 4분위가 0.7%로 부진했다.

삼성과 LG 등 대기업의 상여금이 감소하면서 고소득 가구인 5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4.0% 감소했다.

traum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