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올해 첫 산소부족 물덩어리 발생, 양식생물 피해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핵심요약
수온 상승과 함께 범위 확대 전망
노컷뉴스

빈산소수괴 발생 현황.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이하 수과원)은 남해안 진해만에서 올해 첫 '산소부족 물덩어리(빈산소수괴)'가 관측돼 수산 양식생물 피해가 우려된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22~23일 실시한 수과원의 현장조사에서 용존산소 농도 1.55~2.83mg/L의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진해만 해역 저층에서 관측됐다.

산소부족 물덩어리는 바닷물에 녹아있는 산소 농도가 3mg/L 이하인 물덩어리로 어·패류의 호흡 활동을 방해해 양식생물 피해를 유발한다. 해수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반폐쇄성 내만(內灣)에서 표층과 저층의 수온 차이가 큰 여름철에 주로 발생한다.

표층 수온 상승으로 성층(수온약층)이 생기면 표층수와 저층수가 잘 섞이지 않아 표층에서 저층으로 산소 공급이 단절된다. 저층 수온이 15~16℃에 이르면 저층 퇴적물에 있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활발히 분해하면서 해수에 녹아있는 용존산소를 급격히 소모하기 때문에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바닷물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내만에서 발생해 양식생물의 폐사를 일으키는 등 양식어업에 피해를 주고 있다.

남해 연안에서는 매년 5월 말~6월 초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발생해 9월 말~10월 초 소멸하는 경향이 있는데, 올해도 지난해(5월 24일)와 비슷한 시기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발생 초기라 일부 해역에만 분포하고 있지만, 앞으로 수온 상승으로 산소부족 물덩어리가 두꺼워져 표층 근처까지 확장되고, 발생 범위도 주변 해역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발생 인근 해역의 굴, 홍합 양식장은 채묘시기(6월 초~7월 초)와 겹쳐 피해가 우려되며, 수하식 패류 양식장에서는 수하연(양식용 줄) 길이를 줄여 산소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층에 두도록 조치하는 것이 좋다.

수과원은 수산과학조사선을 이용한 현장조사를 통해 산소부족 물덩어리 발생 범위와 강도를 정밀하게 조사하고 있으며, 속보를 발간·배포해 정보를 빨리 제공하고 있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올여름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극심한 더위와 높은 강수량이 전망돼 남해 연안 산소부족 물덩어리도 강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관측시스템과 현장조사를 통해 산소부족 물덩어리에 대한 속보와 정보를 신속히 제공해 어업인들이 피해에 대비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