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궤도 위성 서비스 시장 둘러싼 각축전…6G 등 차세대 서비스 연계 '필수'?
스페이스X, '다이렉트 투 셀' 영상통화 시연…中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 확대 박차
韓, 3200억원 규모 예타 통과…2030년 중 위성 발사
[서울=뉴시스] 스페이스X는 지난 21일(현지시각) 엑스(전 트위터) 공식 계정을 통해 접시 형태의 안테나 없이도 전화, 문자, 인터넷 검색 등을 돕는 서비스 '다이렉트 투 셀'의 영상통화 시연 영상을 공개했다. (사진=스페이스X 엑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미국, 중국 등 주요 선진국이 민·관 가리지 않고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등 재난에 따른 통신 마비 대안으로 떠오른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가 대표적인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다.
우리나라 정부도 뒤늦게나마 저괘도 위성통신 서비스 개발 과제가 국가R&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통과하면서 스타링크 추격전에 나설 수 있게 됐다. 그동안 지상 통신망이 잘 구축돼 있다는 이유로 외면해 왔으나 스페이스X 등 글로벌 기업들이 보여준 저궤도 위성통신 효과에 정부가 국내 연구개발(R&D) 지원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22일(현지시각) 스페이스닷컴 등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이날 오후 스타링크 위성 23개를 실은 팰컨 9 로켓을 발사했다.
이 위성은 스타링크 서비스에 활용되는데 이미 지구 위 궤도에는 6000여개의 스타링크 위성이 머물고 있다. 머스크는 2027년까지 저궤도 위성을 총 1만2000개 쏴 대규모 위성 군단을 구축할 예정이다.
1만개 이상 위성 중 일부는 접시 형태의 안테나 없이도 전화, 문자, 인터넷 검색 등을 돕는 서비스 '다이렉트 투 셀'을 제공할 모뎀도 탑재할 예정이다. 다이렉트 투 셀은 현재 미국에서 시험 서비스 중이며 캐나다, 일본 등 7개국에도 제공될 예정이다. 스타링크는 지난 1월 다이렉트 투 셀을 활용한 문자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뤄졌다는 소식을 알렸다.
이후 지난 21일에는 영상통화 시범도 보였다. 엑스(전 트위터)를 통해 발표한 약 20초의 시범 영상 속 영상통화 화질은 고화질이라 말할 수 없으나 정상적인 통화는 가능한 수준이었다. 스페이스X는 "올해 말 T-모바일(미국 통신사)에 출시하게 돼 기쁘다"며 다이렉트 투 셀 연말 상용화 계획도 밝혔다.
전쟁 양상 뒤흔드는 위성통신에 美·中 등 선진국 앞다퉈 개발
[서울=뉴시스] 마이크 시베르트 T-모바일 최고경영자(CEO, 왼쪽)와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CEO)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진행된 '다이렉트 투 셀' 위성 로켓 발사 행사에서 기념 촬영한 모습 (사진=스타링크 '다이렉트 투 셀'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처럼 세계 각국 정부 또는 민간기업이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이유는 차세대 이동통신인 6G(6세대 이동통신) 기술 핵심 요소이자 전쟁 등 재난 상황에서 발생할 통신 마비에 큰 영향이 없기 때문이다.
저궤도 위성은 짧은 지연시간으로 고속 통신을 제공할 수 있어 차세대 통신 인프라 '혈관'으로 인식되고 있다. 전송 속도와 지연 시간이 LTE에 상응하는 수준이다. 특히 지상망 한계를 넘어 해상, 공중까지 통신 서비스 공간을 확대할 수 있는 비지상통신망(NTN)으로 주목받으면서 세계 이동통신 표준화기구인 3GPP에서도 저궤도 위성통신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지난 2022년 우크라이나는 28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단말기가 도착했다면서 이를 무료로 지원한 머스크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사진=미하일로 페도로프 우크라 부총리 겸 디지털혁신부 장관 트위터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론 머스크가 전쟁 양상을 뒤흔드는 '게임 체인저'가 됐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스타링크 위성을 추적해 필요할 경우 스타링크 서비스 운용에 개입하려는 움직임도 나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CSNG가 쏘려는 위성 1만3000개는 스타링크 위성보다 더 높은 고도에 머물 예정이다.
'한국판 스타링크'는 이제 시작…정부, 6G 표준 연계 저궤도 위성통신 개발 추진
[서울=뉴시스]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시범망) 구성도.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처럼 위성통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글로벌 위성통신 시장도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마인드커머스에 따르면 글로벌 위성통신 시장 규모는 2021년 312억 달러(약 40조원)에서 2030년 2162억 달러(약 280조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 중 저궤도 위성통신 비중은 67%에 달했다.
2030년 초까지 6G 표준 기반의 저궤도 통신위성 2기를 발사하고, 지상국, 단말국까지 포함된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시범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총사업비는 약 3200억원이다.
이 사업은 예타 신청 3번째 도전 만에 통과됐다는 게 특징이다. 정부는 지상 통신망이 잘 구축돼 있다는 이유, 서비스 수요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로 2021년, 2022년에 이 사업 예타 신청을 탈락시켰다.
하지만 과기정통부는 예타 탈락에도 국내 위성통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를 거듭 강조해 왔다.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과 위성의 발사까지 통상 5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할 때 지금이야말로 국내 기업들이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 진입을 준비할 수 있는 적기라는 설명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alpaca@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