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미국 46대 대통령 바이든

바이든, 케냐에 韓처럼 주요 非나토동맹국 지위…阿에서 中 견제(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부채외교' 겨냥해 부채 탕감 등도 촉구…'재선 뒤 아프리카 방문' 발표

바이든, 아이티에 직접 파병 안하는 이유 묻는 말에 "파견시 오해 야기"

연합뉴스

케냐 대통령과 공동 기자회견하는 바이든 미 대통령
[워싱턴 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케냐를 주요 비(非)나토 동맹국으로 지정하기로 하는 등 아프리카와의 관계 강화에 나섰다.

바이든 대통령은 2022년 아프리카 정상회의 개최에 이어 아프리카 지도자로는 16년 만에 국빈으로 방문한 케냐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아프리카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영향력 견제에 고삐를 죄는 모습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진행한 공동 기자회견에서 의회와 협력해 케냐를 주요 비나토 동맹국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요 비나토 동맹국(Major non-NATO ally·MNNA)은 나토 이외의 국가 가운데 미국과 군사적으로 전략적 관계를 맺은 동맹국을 의미한다.

공식 안보 협정은 아니며 현재 전세계에서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이스라엘 등 18개 국가가 미국의 MNNA로 지정돼 있다.

케냐가 MNNA로 지정되면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의 국가 가운데 처음이 된다.

백악관은 보도자료에서 "MNNA는 미군 및 군무원과 긴밀하고 전략적인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를 대상으로 지정된다"면서 "미국과 케냐간 수십년간의 안보 협력은 동아프리카 및 그 밖의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국제평화 유지, 평화 협상 등의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고 밝혔다.

바이든 정부는 또 위기에 직면한 빈국을 지원하기 위해 2억5천만달러를 세계은행 산하 국제개발협회(IDA)에 지원하고, 저소득국의 빈곤 완화와 구조 조정을 위한 국제통화기금(IMF)의 기금에 210억달러를 수주 내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SSA) 국가에서 미국으로 직접 수출할 때 관세와 쿼터가 면제되는 아프리카성장기회법(AGOA)이 적시에 재승인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밝혔다. 현 AGOA는 내년 만료된다.

미국은 또 반도체법에 따라 조성된 국제기술안보혁신기금(ITSI fund)을 통해 케냐와 협력해 조립, 테스트, 패키징 분야 등에서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를 성장시키고 다각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바이든 정부는 케냐와 함께 채권국에 부채 탕감 등의 행동을 촉구하는 '나이로비-워싱턴 비전'도 출범키로 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과 루토 대통령은 부채 부담이 증가하면 국가의 지속 가능한 부담 등과 같은 중요한 투자가 불가능해진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면서 "어느 나라든 부채 상환과 미래를 놓고 어려운 선택을 할 필요가 없어야 한다"고 밝혔다.

나아가 바이든 대통령은 전날 루토 대통령을 만나 "재선된 이후인 내년 2월에 방문하는 것을 계획 중"이라면서 아프리카 방문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케냐 대통령 국빈 초청은 중국과 러시아가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은 아프리카에서도 차관 제공을 통한 인프라 사업을 대규모로 진행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적 고립을 탈피하기 위해 구소련 때의 우호적 관계와 안보 협력 등을 토대로 아프리카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은 최근 오는 9월15일까지 서아프리카 니제르에서 병력 1천여명을 완전히 철수시키기로 했으며 러시아군이 미군 등 서방의 빈자리를 채우고 있다고 AFP 통신 등이 보도한 바 있다.

앞서 바이든 정부는 2022년 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개최했으며 당시 향후 3년간 아프리카에 550억 달러(약 72조 원)를 투입하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케냐 대통령 국빈 방미 공식 환영식
[워싱턴 로이터=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에 따라 케냐가 갱단의 무장 폭력으로 무법천지가 된 아이티에 경찰을 파견키로 한 결정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아이티에 직접 병력을 파견하지 않고 물질적 지원만 제공하는 이유를 묻는 말에 "우리는 미국이 병력을 파견할 경우 우리가 하려는 일에 대해 오해를 야기할 수 있는 많은 질문이 제기되고 아이티와 미국의 이익에 반대하는 사람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우리는 필요한 물자를 갖추고 그 노력을 주도할 수 있는 파트너를 찾기 시작했다"면서 "아이티 국민은 평화와 안전을 누릴 자격이 있으며 나는 이 책임을 맡아준 루토 대통령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solec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