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최태원 "한·일 경제권 만들자"…니나미 "아시아 이끌 축 될 것" [닛케이 국제 콘퍼런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닛케이 '아시아의 미래' 국제콘퍼런스

최태원 SK그룹 회장(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한·일 경제권을 만들자”는 제안을 내놨다. 저출산 고령화, 에너지 위기 등 공동 과제를 안고 있는 두 나라가 관세 철폐 등으로 경제권을 합쳐 EU(유럽연합) 시장에 버금가는 시장을 만들자는 취지다.

최 회장은 24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주최하고 중앙일보가 미디어 파트너로 참여하는 ‘아시아의 미래’ 국제 콘퍼런스에 참석해 이같이 제안했다. 도쿄 테이코쿠(帝国)호텔에서 ‘불확실한 세계와 아시아의 리더십’을 주제로 열린 이 행사에서 최 회장은 일본을 대표하는 경영자인 니나미 다케시(新浪剛史) 산토리홀딩스 CEO(최고경영자·사장)와 대담했다.

중앙일보

23일 일본 도쿄 테이코쿠 호텔에서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주최하고 중앙일보가 미디어파트너로 참여한 '아시아의 미래' 국제 콘퍼런스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니나니 다케시 산토리홀딩스 사장과 대담하고 있다. 사진 SK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니나미 사장은 최 회장의 제안에 “동아시아 안전을 위해 양국 협력이 필요하며, 위기를 함께 극복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면서 “이를 아시아 경제권을 형성하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며 공감을 표했다. 그는 “한국과 일본이 경제, 방위 등을 미국에 의존하고 있지만 아시아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서 “아시아의 미래를 이끌어가는 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담에서 최 회장은 한·일 정상이 지난 1년간 7번 만나고 양국 국민이 1000만명 이상 교류하는 등 달라진 분위기를 전하면서 “그럼에도 아직 체감할 성과는 불충분하다”고 지적했다. 양국 관계가 개선됐지만 “자칫 과거로 회귀할 수 있는 불안감도 있다”는 것이다. 그는 ‘한·일 경제권’이 필요한 이유로 수출 중요성을 강조하는 모델에 한계가 있다면서 “두 나라 (시장이) 결합하게 되면 6조 달러(약 8184조원)가 넘는 시장으로 다시 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

23일 일본 도쿄 테이코쿠 호텔에서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주최하고 중앙일보가 미디어파트너로 참여한 '아시아의 미래' 국제 콘퍼런스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니나니 다케시 산토리홀딩스 사장과 대담하고 있다. 사진 니혼게이자이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불확실성이 높아진 세계정세 속에서 ‘아시아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는 연설에서 “아시아가 무역과 투자 등 경제력을 살려 세계 평화를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아시아가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30%를 차지하고 있는 점을 언급하며 “우리는 전략적인 힘을 갖고 있다”면서 “세계적인 과제 해결은 아시아의 리더십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중국과 미국의 대립에 대해서 “중립”이라는 점도 언급했다. 말레이시아는 미국은 주요한 동맹국이며, 중국은 전략적인 중요 인접 국가이기에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서도 “다자주의를 살려 남중국해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는 설명이다.

레 민 카이 베트남 부총리는 일본과의 경제협력 필요성을 강조하며 공급망 강화와 디지털 분야 인재 육성에서의 협력을 제안했다. 이어 연단에 오른 순 찬돌 캄보디아 부총리는 “캄보디아는 아세안 경제 공동체의 일부”라며 “평화와 안전, 경제성장 등 아시아 전체를 위해 공헌하고 싶다”는 의지를 밝혔다.

중앙일보

23일 일본 도쿄 테이코구호텔에서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주최하고 중앙일보가 미디어 파트너인 제29회 '아시아의 미래' 국제 콘퍼런스 개최를 기념해 열린 만찬회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연설을 하고 있다. 김현예 특파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이날 만찬 연설에서 “일본이 위치한 동북아시아의 지역에서 평화와 번영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며 오는 26~27일에 서울에서 열리는 한·일·중 정상회의를 언급했다. 기시다 총리는 “지역 평화와 번영에 대한 큰 책임을 공유하는 3국에 의한 실무 협력을 더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행사 첫날인 이날엔 저우샤오촨(周小川) 전 중국 인민은행장이 참석해 탈 탄소 시대를 위한 전기차 확대의 필요성을, 청융화(程永華) 전 주일중국대사가 나서 ‘평화적인 중일 관계 필요성’을 언급했다. 24일엔 세타 타위신 태국 총리, 간 킴 용 싱가포르 부총리를 비롯해 마하티르 모하마드 전 말레이시아 총리가 연사로 나선다.

도쿄=김현예 특파원 hykim@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