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가계 실질소득이 7년 만에 최대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근로소득은 급감했는데 물가는 오르면서다. 실제로 대기업 상여금 감소가 실질 근로소득이 줄어드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근로소득 외에 이렇다 할 수입이 없는 대부분 중산층이 고물가와 고금리에 타격을 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살림살이가 어려워지면서 가구 실질소득도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 늘었다. 하지만 물가를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은 1년 전 대비 1.6% 줄면서 1분기 기준으로 2021년(-1%) 이후 3년 만에 감소로 전환했다. 이번 감소폭은 2017년 1분기(-2.5%) 이후 가장 크다.
가계소득 감소를 이끈 것은 근로소득이었다. 물가를 고려하지 않은 명목 근로소득이 1.1% 줄어들었다. 지난해 대기업 실적이 부진해 상여금 규모가 급감한 여파가 크게 작용했다. 대기업에 다니며 근로소득으로 생활하는 중산층 수입이 줄어든 게 전체 가계소득 감소를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물가 상승을 감안한 실질 근로소득 감소율은 더 크다. 1년 전에 비해 3.9% 줄어든 것이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동향수지과장은 "물가만큼 소득이 늘지 않았기 때문에 가구 실질소득이 마이너스가 됐다"고 설명했다.
가계 소비지출은 월평균 290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3% 늘었다. 물가가 상승하면서 같은 씀씀이에도 지출 규모가 커졌다. 소득에서 이자비용을 포함한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1.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소득보다 지출 증가율이 높아졌다는 얘기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가구 흑자액은 113만8000원으로 2.6% 줄며 3개 분기 만에 감소로 돌아섰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을 의미하는 흑자율은 소득 1분위(하위 20%)를 제외한 모든 소득 분위에서 떨어졌는데, 중산층의 살림살이 악화를 간접적으로 보여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희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