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노무현 대통령 그리며"…한드미마을 현판 없는 정자에 얽힌 사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3일 서거 15주기 맞아 주민들 애틋한 기억

19년 전 단양 방문 때 "현판 달아주겠다"…그 약속 이제 누가

뉴스1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5년 5월21일 충북 단양의 한드미마을에서 농촌체험 중 한 어린아이를 흐믓한 표정으로 바라보고 있다.(한드미마을 대표 제공).2024.5.23/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단양=뉴스1) 이대현 기자 = "19년째 대통령님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충북 단양군 소백산 기슭에 자리한 전형적인 시골인 '한드미마을' 대표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을 그리며 토로한 말이다.

이 마을 정문찬 대표는 "우리 마을에서 농촌 체험을 하시곤 다시 마을을 찾아 정자에 현판을 달아 주기로 약속했었는데…"라며 한참을 아쉬워했다.

23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를 맞아 충북 단양의 '한드미마을'의 애틋한 사연이 세간의 관심을 끈다. 이곳은 노 전 대통령이 퇴임을 앞두고 '어려움에 처한 농촌 현장을 직접 살피겠다'며 농촌 체험을 위해 방문했던 전형적인 시골 마을이다.

이 마을 주민들이 전하는 사연은 이렇다.

농촌체험휴양마을인 한드미마을 입구에 들어서면 오른쪽 느티나무 숲에 현판이 없는 정자 한 채가 있다. 마을 주민들은 2005년 5월 21일 노 전 대통령이 이곳을 방문해 농촌 체험을 한 기념으로 이 정자를 새로 지었다.

주민들은 이 정자를 '임금이 온다'는 의미로 '어래정'(御來亭)이라 부른다. 대통령이 언젠가는 다시 마을을 찾아 직접 현판을 달아주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뉴스1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방문 기념으로 한드미마을 주민들이 마을 입구에 새로 지은 정자.(독자 제공).2024.5.23/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정자는 지은 지 19년이 지나도록 현판 없이 마을 입구를 지키고 있다. 퇴임 전 이 마을에서 농촌 체험을 한 노 전 대통령은 2008년 2월 퇴임 후 그 이듬해인 2009년 5월 23일 서거했다.

노 전 대통령이 살아 돌아올 수 없다는 걸 알면서도 마을 주민들은 "혹시나 오실까"하는 그리움에 19년째 현판 자리를 비워두고 있다는 것이다. 그 세월 만큼, 노 전 대통령이 한드미 산림문화회관 앞 마당에 심은 느티나무 기념 수는 키가 어느덧 20m 이상 훌쩍 자랐다.

정 대표는 "삼엄한 경호와 극비리에 전국 150곳 중에서 엄선해 우리 마을로 오신 노 전 대통령은 어린아이처럼 순박했다"며 "농촌 체험 당시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그러면서 "지금도 주민들은 '풀 소리와 물소리에도 귀 기울이는' 대통령이 찾아와 현판을 걸어주길 고대한다"고 마을 분위기를 전했다.

노 전 대통령 방문 이후 '한드미마을'은 명성을 얻으면서 한때 연중 4만~5만 명이 찾을 정도로 시골 명소가 됐다.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에는 전국 노사모 회원들과 부산상고 동문이 방문하곤 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발길이 좀 뜸해졌다.

정 대표는 "지금은 예전 같지 않않지만 농촌체험을 위해 매년 3만 명 이상이 마을을 찾는다"며 "봉화마을과 자매결연을 계획하는 등 노 전 대통령과의 인연은 영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권양숙 여사가 깜짝 방문해 어래정 현판을 달아주실까 하는 반갑고 즐거운 상상을 19년째 하고 있다"며 옅은 미소를 지었다.

뉴스1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권양숙 여사가 한드미마을 농촌체험 방문을 기념해 느티나무를 식재하는 모습.(한드미마을 대표 제공)2024.5.23/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ija2000@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