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온난화로 험난해진 하늘길, 난기류 빈발…위력도 커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싱가포르 항공기 사고

경향신문

아수라장 21일(현지시간) 태국 방콕 수완나품 국제공항에 비상 착륙한 싱가포르항공 SQ321편 내부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끔찍한 비명과 ‘쿵’ 하는 소리가 들렸다. 물건들이 공중에 떠다녔고, 나는 온몸이 커피로 뒤덮였다.”

21일(현지시간) 극심한 난기류를 만나 태국 방콕에 비상착륙한 싱가포르항공 여객기에 타고 있던 영국인 브리튼 앤드 데이비스는 사고 당시 상황을 이같이 전했다고 BBC가 보도했다. 아들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이 비행기에 탔다는 승객 제리는 “자리를 벗어나 돌아다니던 사람들은 공중제비를 돌았고, 나와 아내는 천장에 머리가 부딪혔다”면서 “비행기가 급격히 떨어지기 전에도 아무런 경고가 없었다”고 말했다. 다른 승객 자프란 아즈미르는 “휴대전화와 신발도 비행기 안을 날아다녔다”며 “비행기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사람들이 천장으로 튀어 올랐다가 바닥에 떨어졌다. 이들은 머리에 큰 상처가 났거나 뇌진탕을 입었다”고 로이터통신에 말했다.

방콕 수완나품 공항에 비상착륙한 후 공개된 여객기 내부 모습을 보면 비상용 산소마스크는 주렁주렁 매달려 있고, 일부는 뜯어진 천장 덮개 등과 뒤엉켰다. 바닥에는 음식과 수화물 등 온갖 물건이 나뒹굴었다.

AP통신에 따르면 사고 여객기가 이륙 후 10시간가량 고도 1만1300m에서 순항하던 중 미얀마 인근 인다만해 상공에서 약 3분 만에 고도 9400m까지 급하강하면서 다수 부상자가 발생했다.

일기예보 서비스 어큐웨더는 “항로에서 빠른 속도로 발달한 뇌우가 극심한 난기류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높다”며 “항공기 바로 앞에서 이런 현상이 일어나면 기장이 대응할 시간이 거의 없다”고 전했다.

일각에선 온난화의 영향으로 이 같은 난기류의 빈도와 위력이 커지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013년부터 관련 연구를 진행해온 폴 윌리엄스 영국 레딩대 교수는 “향후 수십년간 심각한 난기류가 두 배 혹은 세 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며 특히 폭풍이나 구름 등 전조증상 없이 발생하는 ‘청천 난기류’가 2050~2080년에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고 CNN에 말했다.

싱가포르 당국은 태국에 사고 조사 담당자를 보냈으며,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도 조사에 참여할 예정이다. 사고가 난 여객기는 미국 보잉의 777-300ER 기종으로, 승객 211명과 승무원 18명이 타고 있었다.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이 사고로 1명이 사망하고 70여명이 다쳤다. 사망자는 73세 영국 남성이며, 사인은 심장마비로 추정된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최혜린 기자 cheri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