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글로벌 AI 중심국가 도약]AI 전문가 “디지털 격차 해소해야…'안전'과 '혁신' 정책균형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AI글로벌 포럼이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열렸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하는 빅테크 기업과 정부, 대학, 국제기구 관계자들이 모여 국가 간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AI 발전 마련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22일 서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개최된 'AI 글로벌 포럼' 전문가 세션에서는 '디지털 공동번영 사회를 위한 디지털 권리 보장'과 'AI의 기회 및 혜택의 전 세계적 확산'을 주제로 열띤 논의가 진행됐다.

디지털 기술이 경제적, 사회적 혁신을 주도하면서 디지털 전환은 인류 문명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특히 AI와 디지털 도구는 산업과 사회 전반에 걸쳐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그러나 AI 기술 발전 가속화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디지털 격차가 경제적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이날 참석한 전문가들은 AI 안전을 확보하면서 혁신을 놓치지 않는 균형잡힌 정책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한국의 '새로운 디지털 질서 확립' 정책과 디지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글로벌 협력을 바탕으로 모두를 위한 디지털 기술 혜택을 극대화하는 정책이 제시됐다. 디지털 권리장전은 디지털 기본권, 혁신 촉진, 국제협력을 위한 미래 준비를 주요 골자로 했다.

좌장을 맡은 염재호 태재대 총장(AI전략최고위협의회 공동위원장)은 “AI로 경제, 사회 시스템까지 급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인류가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화두를 던졌다.

전자신문

AI글로벌 포럼이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열렸다. 참석자들이 네이버, SK텔레콤 등 국내 기업의 AI기술을 살펴보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먼저 기조연설에 나선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인류는 앞서 산업혁명과 컴퓨터, 인터넷 발전에 맞춰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왔다”며 “최근에 각국이 AI 규범과 거버넌스를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강 차관은 “한국은 AI 시대 새로운 디지털 질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2023년 9월 디지털 권리장전을 발표하고, 21일 20개의 구체적 정책과제를 제시했다”며 “이러한 새로운 디지털 사회 이니셔티브를 한국과 OCED와 함께 진행해 왔고, 앞으로 국제사회 동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각국 정부 기관과 학계 등을 대표해 참석한 전문가들은 AI 기술이 정신건강, 시민의 권리와 자유 등 사회 시스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며 선제적 준비가 필요하다는 데 한 목소리를 냈다.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은 “AI 기술 부작용만 강조하면 민간 분야 혁신이 저해될 수 있다”며 “유연한 법적 시스템 채택과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사회협의체를 통한 혁신과 안전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생성형 AI 기술은 스마트폰, 로봇, 자동차와 같은 하드웨어와 통합돼 인간의 능력을 강화하고, 도구를 향상시키며 기술 발전 시대를 이끌고 있다.

누구나 AI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회가 제공돼야 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거버넌스 체계 '포용성'이 중요해졌다.

두 번째 세션 기조발표자로 나선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은 우리나라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성과와 함께 재난 안전, 취약계층 지원 등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AI를 공공 행정에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소개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