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 교수 AI 글로벌 포럼 기조 연설
"AI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도 필요"
앤드류 응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공지능(AI) 기술을 규제하면 발전은 더딜 것입니다. 혁신과 안전 모두를 잡기 위해선 기술이 아닌 애플리케이션(응용 서비스)을 규제해야 합니다."
글로벌 AI 석학 앤드류 응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교수는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진행된 'AI 글로벌 포럼'에서 AI 규제와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응 교수는 "AI 기술과 적용을 구분하고, 기술이 아닌 적용 분야를 관리해야 한다. AI 기술이 적용된 도구의 안전성을 높여 발전을 저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규제는 기술 자체가 아니라 적용사례별 리스크를 파악하고 이뤄져야 한다는 얘기다.
응 교수는 "전기 모터를 어떻게 안전하게 만들 수 있을까에 초점을 맞추면 전기 모터의 사이즈는 굉장히 작아질 수 밖에 없다"며 "사실 (기술의) 좋은 적용 사례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례도 있는데, 이는 모두 기술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적용 차원으로 봐야 한다. 애플리케이션과 기술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또 "모든 지식 노동자는 생성형 AI를 생산성 향상의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노동자들이 AI를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면서 각국 정부가 AI 재교육 등에 힘쓸 것을 촉구했다.
응 교수는 "대부분 노동자는 AI를 안전하게, 책임감 있게 쓸 수 있는 훈련이 부족하다"며 "AI 접근성 향상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SW) 활동이 더욱 장려돼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일각에서 자신들의 투자 가치 훼손을 막고자 오픈소스에 반하는 로비를 벌이기도 하는데, 그런 규제가 일어나면 결국 모두 패자가 된다"고 말했다.
그는 연설 도중 한국의 분위기를 담아 자신이 직접 AI로 작곡한 음악을 들려줘 청중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응 교수는 "생성형 AI가 몇 년 전부터 세계를 사로잡았다. 예전 AI는 이미지와 텍스트뿐이었지만 지금은 작곡도 가능하다"면서 "생성형 AI는 향후 교육, 비즈니스, 법률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지대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AI에 대해 이해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범용적이기 때문"이라며 "반도체, 클라우드, 기술 도구에 적용되는 AI 기술에 세간의 이목이 쏠려있지만, 이들 윗단의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장차 매출이 더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응 교수에 이어 마크 레이버트 보스턴다이나믹스 창업자가 연단에 올라 기조 강연을 펼쳤다. 레이버트 창업자는 "AI와 로봇은 더럽고 위험한 작업 등으로부터 사람들을 해방시켜줄 수 있고, 인류가 처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단언했다.
그는 다만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에 나서는 곳들이 올 연말까지 100여곳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유용한 작업을 수행 가능한 곳은 없는 것 같다"며 "열정, 투자, 기회가 넘쳐나는 이 흥미로운 시기에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제대로 작동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레이버트 창업자는 향후 로봇 얼만큼 발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전망도 내놨다. 그는 "AI와 로보틱스가 창의성을 촉진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이런 시스템을 설계·테스트·제작하는 엔지니어의 창의성뿐 아니라, 장차 로봇과 AI 자체도 창의성을 갖출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로봇은 현재 공장 위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향후엔 노약자, 장애인들을 도와주고 가정에서도 로봇을 이용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며 "엔지니어들이 끊임없이 창의성을 발휘해 로봇과 인간이 함께 춤을 추는 사회가 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