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이구순의 느린걸음] 'AI 서울선언'을 환영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내가 의사가 되기 위해 공부하는데 7년이 걸려요. 정작 내가 의사가 됐을 때는 AI로봇이 수술을 하고 있을 거예요. 그렇다면 나는 왜 의사가 되기 위해 공부해야 하는 거예요?" AI로봇과 사람의 공생을 소재로 만든 영국 드라마 '휴먼스'에서 시험 망친 고등학생 딸이 이버지에게 쏟아낸 하소연이다. 지난해 말 오픈AI가 채팅할 수 있는 생성형AI 챗GPT를 내놨을 때 까지만 해도 '영화에서 보던 AI비서를 진짜 써보겠구나'싶어 생활의 편리에 대한 기대감이 컸었다. 그런데 불과 6개월 사이 채팅은 옛말이 됐다. 텍스트를 써 넣기만 하면 영상이나 음악으로 척척 만들어내고, 전문지식이 담긴 박사급 논문을 10분만에 써내는 AI서비스들이 하루가 멀다하고 나온다. 나를 편하게 해주겠다며 앞다퉈 나오는 AI비서들의 발전 속도가 두렵다. AI기술의 빠른 발전이 예술, 국방, 의료, 치안 같은 인류의 질서를 바꿔놓을 수 있다는 불안이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 AI 서울 정상회의 발언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화상으로 참석한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2024.5.21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hihong@yna.co.kr (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세계를 당황시킬 만큼 빠른 AI기술과 생태계를 관통할 국제규범으로 △안전 △포용 △혁신이 채택됐다. 21일 윤석열 대통령과 리시 수낙 영국 총리가 공동으로 주재한 '서울 AI정상회'에서 'AI서울선언문'에서다. '서울 AI정상회의'는 지난해 말 영국에서 열린 AI안전성 정상회의의 후속 회의다. 지난해 회의에서는 가짜뉴스나 인간 창작물의 무단 도용, 생채기술의 무단 활용 같은 AI기술 발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한 AI서비스'를 만들어야 한다는 합의가 이뤄졌었다.

그런데 우리 정부가 주재한 두번째 회의에서 AI생태계 국제규범에 안전성 외에 포용과 혁신을 포함해 서울선언문을 성사시켰다. 서울선언문은 그야말로 글로벌 AI산업의 큰 획을 그을 의미있는 발전이 아닐까 싶다.

사실 '안전한 AI'라는 말이 얼핏 보기에는 점잖고 당연해 보이지만, 그 안에는 창과 방패의 치열한 전쟁이 숨어있다. 점단 신기술 산업이 주로 그렇듯 글로벌 AI 생태계는 ‘매그니피센트7(M7)’라고 불리는 미국의 7개 빅테크 기업이 주도한다. 구글, 애플, 메타(페이스북), 아마존, 엔비디아,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MS)다. 이들 7개 기업이 매일 신규 서비스를 쏟아내며 전세계 시장을 장악해가고 있다. 진격의 미국기업들이다. 반면에 과거 구글과 애플의 시장 장악을 경험했던 EU는 더이상 미국 기업들에게 시장을 얌전히 내주지는 않겠다는 태세다. EU는 21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세계 최초의 강력한 AI규제법을 최종 승인했다. 자체적으로 빅테크 기업을 키우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한 EU는 거대한 시장을 무기로 AI산업 부터는 '깐깐한 소비자'가 되기로 한 모양새다. 미국 기업의 서비스를 써주는 대신, 유럽 시장에서 장사하려면 유럽의 요구사항을 맞추라고 것이다. AI에 대한 안전성·투명성 요구는 유럽의 깐깐한 소비자 주의가 내포된 말이다. 거대한 창을 가진 미국과 거대한 방패를 가진 유럽은 그렇다치고, 작은 창과 작은 방패를 동시에 써야 하는 한국은 참 난처한 처지다. M7만큼은 크지는 않지만 토종 IT기업을 키워 해외 시장에 내보내자니, 공격과 방어를 동시에 해야 하는 셈이다. 이런 난처한 상황에서 안전성 중심이던 AI 국제규범을 포용과 혁신으로 확장해 M7외에 다른 기업들이 시장에 끼어들 틈새를 열어줬으니 AI 서울선언문의 성과는 박수받아 마땅해 보인다.

이제 구체화의 숙제가 남았다. 서울선언문을 한국 IT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M7기업이 밝히는 AI 투자계획이 1520조원 정도다. 지난해 한국 500대 기업 중 R&D 비용을 공시한 224개 기업의 투자총액이 73조원이었으니, 어림잡아 한국기업 전체 R&D의 21배다. 기업의 돈싸움으로는 한국 기업이 글로벌 AI시장에 낄 여력이 없다. 정부가 직접 나서면 국제사회에서 미운털이 박힐테다. 정부가 포용성·혁신성을 중심으로 글로벌 AI시장에 한국기업이 끼어들 틈을 만들어주고 힘쓰도록 보이지 않게 지원할 정책을 세심히 만들어야 한다. 'AI 서울선언문'처럼 박수받을 후속정책을 기대한다.
#MS #AI #정상회의 #오픈AI #GPT

cafe9@fnnews.com 이구순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