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취업과 일자리

작년 4분기 임금일자리 29만개 늘어…20·40대는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대 이하 일자리 5개 분기 연속 줄어…감소폭도 확대

연합뉴스

지난해 취업자 수 32만7천명 증가…제조업·청년층은 감소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작년 연간 취업자 수가 32만7천명 증가한 가운데 10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일자리 정보가 게시돼 있다. 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천841만6천명으로 전년보다 32만7천명(1.2%) 늘었지만 산업별로 봤을 때 제조업 취업자 수가 4만3천명 줄고 연령별로는 청년층(15∼29세)에서는 9만8천명이 감소했다. 2024.1.10 dwise@yna.co.kr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지난해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약 30만개 가까이 늘었지만 20대와 40대는 인구 감소 등 영향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천74만9천개로 1년 전보다 29만3천개 증가했다.

증가 폭은 직전 분기(34만6천명)보다 다소 줄었다. 임금근로 일자리는 매분기 늘고 있지만 증가 폭은 2022년 1분기 75만2천개 이후로 둔화하는 양상이다.

일자리는 사람 수를 기준으로 한 '취업자' 통계와 달리 근로자별로 2개 이상 집계될 수 있다. 가령 주중에 회사를 다니고 주말에는 학원 강사를 한 경우 취업자는 1명이나 일자리는 2개로 집계된다.

연령별 증감을 보면 60대 이상이 24만9천개 늘어 증가세를 주도했고 50대와 30대도 각각 11만3천개, 5만2천개 늘었다.

반면 20대 이하와 40대 일자리는 각각 9만7천개, 2만4천개 줄었다. 인구 감소, 경력직 우선 채용 경향 등 영향으로 풀이된다.

20대 이하 일자리는 2022년 4분기(-3만6천개) 이후 5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감소 폭도 매 분기 확대되면서 작년 4분기 10만개에 육박했다.

40대 일자리도 작년 3분기 4천개 줄면서 4년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데 이어 감소 폭을 키웠다.

60대 이상은 보건·사회복지(7만5천개)·제조업(3만4천개) 등에서 주로 늘었다. 20대 이하는 도소매(-2만개), 정보통신(-1만4천개) 등에서 줄었다.

연합뉴스

중견기업 일자리 박람회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21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중견기업 일자리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 등이 부스를 돌아보고 있다. 2024.5.21 pdj6635@yna.co.kr


전체 일자리 중 1년 전과 같은 노동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천469만3천개(70.8%)였다. 퇴직·이직으로 노동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50만4천개(16.9%), 새로 생겨난 일자리는 255만2천개(12.3%)였다. 폐업·사업 축소 등으로 사라진 일자리는 225만9천개로 집계됐다.

산업별로 일자리 증감을 보면 보건·사회복지(10만7천개)가 가장 증가 폭이 컸고 숙박·음식(3만9천개), 운수·창고(3만8천개) 등 순이었다. 반면 건설업(-1만4천개), 교육(-1만4천개) 등에서는 일자리가 줄었다.

산업별 일자리 비중은 제조업이 전체의 20.8%를 차지해 가장 컸고 보건·사회복지(12.1%), 도소매(10.5%) 등이 뒤를 이었다.

산업별로 지속 일자리 비중을 보면 제조업이 78.7%로 다른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대체·신규 일자리 비중은 각각 11.8%, 9.5%였다.

반면 건설업은 지속 일자리 비중이 46.5%에 그쳤다. 대체 일자리와 신규 일자리 비중은 각각 28.0%, 25.5%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와 여자 일자리가 1년 전보다 각각 8만9천개, 20만4천개 늘어 여성 증가 폭이 컸다. 다만 전체 일자리 대비 비중은 남자(56.5%)가 여자(43.5%)보다 높았다. 지속 일자리의 남녀 점유율은 각각 57.3%, 42.7%였다.

남성 일자리는 제조업(3만5천개)·운수·창고(2만2천개), 여자는 보건·사회복지(9만1천개)·숙박·음식(2만7천개) 등에서 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roc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