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네이버 이해진은 왜 조지 오웰의 소설 '1984'를 꺼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AI 서울 정상회의 참석
"지역 문화·가치 존중하는 다양한 AI 모델 나와야"
한국일보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네이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는 21일 열린 '인공지능(AI) 서울 정상회의'에서 미래 세대를 위해 각 지역의 문화와 가치를 존중하는 다양한 AI 모델의 등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2일 네이버에 따르면 이 GIO는 전날 오후 AI 서울 정상회의 정상세션에 참석해 미래 세대를 위한 보다 안전한 AI의 발전을 위해 이 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이 GIO는 "사용자들이 하나의 키워드로 다양한 검색 결과에서 정보를 선택하는 검색과 달리 바로 답을 제시하는 AI는 선택의 여지가 없이 답을 얻는 방식이고 이러한 AI의 특성은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들에게 매우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런 점이 AI의 안전성에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GIO는 '과거를 지배하는 자는 미래를 지배한다. 현재를 지배하는 자는 과거를 지배한다'는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의 구절을 인용하며 "극소수 AI가 현재를 지배하게 되면 과거 역사, 문화에 대한 인식은 해당 AI의 답으로만 이뤄지게 되고 결국 미래까지 해당 AI가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관점에서 다양한 시각들이 보이고 각 지역의 문화적, 환경적 맥락을 이해하는 다양한 AI 모델이 많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 GIO는 "역사에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며 "다양한 AI 모델로 각국의 문화 등 다양성을 지킬 수 있고 어린이, 청소년도 제대로 된 역사관, 시각을 가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네이버는 AI 안전을 위한 자체 규율 정비에 힘쓰고 있다. 이 GIO는 "AI 윤리 준칙 발표에 이어 보다 구체화한 'AI 안전 실행 프레임워크'(NAVER AI Safety Framework)를 다음 달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소버린AI(데이터 주권을 갖기 위해 국가별로 자체 구축하는 AI기술)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네이버는 영어 중심의 빅테크 AI에 비해 나라별로 언어·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는 소버린AI 기술을 내세워 글로벌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이 GIO는 "네이버는 각 지역의 문화와 가치를 존중하고 이해하며 책임감 있는 다양한 AI 모델이 나와 많은 글로벌 국가가 자체 소버린 AI를 확보할 수 있도록 어떤 형태든 기술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김지현 기자 hyun1620@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